메뉴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에 中네티즌 "한국 대통령직은 고위험직"

박근혜 대통령이 돌연 사면됐다.

박 대통령의 죄는 정치적 죄였다. 형사법상의 범죄 이상의 정치적 판단이 적용됐다. 박 대통령 주변 인사들의 국정농단이 시민들의 분노를 샀고 촛불을 들고 광장에 나가게 했다. 박 대통령에 대한 재판은 그 분노를 대행하는 현 문재인 정권이 내린 정치적 단죄 성격이 컸다. 

사실 지금도 경제적 공동체라는 개념이 도입된 박 대통령의 뇌물죄 성립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소수지만 분명히 이견이 있다. 

그래서 박 대통령의 사면도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

4년 7개월의 수감생활. 정치적 단죄였던 만큼 당하는 쪽에서는 억울함이 클 수밖에 없다.

그런 박 대통령은 대선을 3개월여 앞둔 시점에서 사면한 것이다.

아무리 의도가 없다고 해도 정치적 파장은 클 수밖에 없다. 그런 사면을 정치적 파장 고려 없이 했다면 문재인 대통령은 정말 무책임한 사람이다.

정말로 무책임 했을까?

정치적 중립성에서는 무책임했을지 몰라도 당파적 입장에서는 '신의 한 수'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국민의힘 당 대선후보는 묘하게도 박근혜 대통령을 수사해 감옥에 보낸 윤석열 후보다.

그는 그 공으로 문재인 정권에서 검찰총장까지 올랐고,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다 나와 현 대선후보가 됐다. "민주당에 들어가야 했으나 사정이 여의치 않았다"는 그의 말이 남달리 들리는 이유다.

그런  윤 후보에게 박 전 대통령의 활동은 어떤 상황에서도 악재일 수밖에 없다. 최소한 박 전 대통령이 대승적 차원에서 윤 후보를 공식적으로 지지하지 않는 한 말이다.

물론 박 전 대통령은 남다른 사람이다. 여러가지 면에서 남다르다. 개인의 원한은 잊고 정치적, 대승적 판단을 할 수도 있다. 

그럼 지금도 삐걱거리는 국민의힘 선거위의 여러 혼란도 싹 사라진다. 전혀 협조를 하지 않는 홍준표 의원이 오히려 멀쑥해진다. "박 전 대통령도 당의 승리를 위해 대승적 태도를 보이는데..."라는 반응이 나올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게  쉬워만 보이지는 않는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층은 거의 종교적이다. '문빠', '대깨문'이 있다면 박  전 대통령에게는 '태극기부대'가 있다.

여기에 박 전 대통령의 측근 최순실( 최서원으로 개명) 탓에 등을 돌렸던 중도가 있다. 우리에게 중도는 별다른 의미가 있는 게 아니다. 1960~70년대 개발시대를 공유한 세대가 대부분이다. 

경쟁에 치였지만 어쩔 수 없이 경쟁을 선호하고, 재벌을 악처럼 미워하지만 돈을 버는 노력을 인정하는 이들이다. 

순수하기 때문에 촛불을 응원했고, 순수하기에 '공정을 내세운 불공정'에 분노하는 세대다. 

중도는 박 전 대통령의 움직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문재인 대통령의 '못된 사면'에 대선 정국이 요동치고 있다. 갈수록 재미있어지고 있다.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이런 깊은 상황까지 고려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가볍지만은 않다. "한국에서 대통령직은 고위험직"이라는 반응이 눈길을 끈다.

 

 

대한민국 고위험 직업은 대통령이야.

 

무엇보다도 박근혜의 건강 상태가 걱정돼...

 

문 대통령이 사면해준 건, 박근혜의 지지율이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이야.

 

문 대통령은 물러날 길을 남겨둔 거지, 왜 그렇게 조급해하는 거야.

 

박근혜 전 대통령의 조기 사면은, 무슨 신호일까?

 

박근혜의 석방을 지지해!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