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찬선의 시와 경제 9 - 무임승차 경제학

참 주인임을 보여준 우크라이나와 신동문 시인

 

 

1963년 어느 겨울 날, 5.16 이후 군인들이 강한 권력을 행사했을 때의 일이다. 서울행 통일호 열차가 영등포역을 지나 한강철교를 건널 때쯤이었다. 여인 한 명이 신고 있던 하이힐을 벗어 앞에 앉아 있던 헌병장교의 머리를 내리쳤다. 헌병장교는 다행히 얼굴을 피했으나, 뾰쪽한 뒷굽으로 어깻죽지를 얻어맞고 벌떡 일어나 쌍욕을 하며 여인에게 폭력을 행사할 태세를 보였다.

일촉즉발의 이 때, 옆에 서 있던 중년 신시가 젊잖게 한마디 했다. 천안역에서 기차를 탄 이 신사는 승차 때부터 지금까지 헌병장교가 줄기차게 앞에 앉은 여인을 치근대던 모습을 지켜보며 화를 삭이고 있었던 터였다. “이봐요, 아까부터 보고 있었소. 여자들이 귀찮아하면 그만둬야지, 장교체면에 이 무슨 행패요…”

기세등등하던 헌병장교가 한풀 꺾이자 주위에 있던 사람들도 한마디씩 거들었고, 그 헌병장교는 어쩔 수 없다는 듯 주춤주춤 자리를 피했다. 신사의 말 한마디가 여인의 봉변을 막아주었고, 헌병장교의 잘못도 바로잡아주었다.(<저항과 은둔 시인 신동문>, 『월간 시』, 2022년 3월호, 193~198쪽)

 

무임승차/ 如心 홍찬선

 

훔친 사과가 맛있다고 합니다

무임승차가 달콤하다고 하네요

강 건너 불구경이 재미있답니다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우스개가

죽음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 독이

도사리고 있음은 알지 못할까요

 

양심을 썩게 만드는 게 훔친 사과요

사회를 병들게 하는 게 무임승차요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게 강 건너 불구경입니다

 

그래서 머슴은 무임승차를 즐기지만

그래서 주인은 절대로 무임승차하지 않습니다

 

경제학자와 정책집행자를 괴롭히는 문제 가운데 하나가 무임승차(Free Ride)다. 표를 끊지 않고 버스나 지하철을 타는 것이 바로 무임승차다. 이렇게 눈에 보이는 무임승차는 정상요금의 30배에 이르는 벌금을 물린다든지 해서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무임승차는 발견하기도 쉽지 않고, 법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올바른 인성교육을 통해서만 막을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위에서 예로 든 열차 안에서의 치한 물리치기다. 치한이 있을 때 누군가가 나서 제지하면 문제가 쉽게 해결된다. 하지만 괜히 나섰다가 봉변당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행동을 막고, 이런 두려움이 뻔뻔한 치한들이 활보하도록 만든다. 누군가 나서서 치한을 없애면 나는 공짜로 치한 없는 사회를 누릴 수 있는 것, 그게 바로 무임승차다. 국방도 마찬가지다. 다른 사람이 모두 군대에 가서 나라를 지키면 나는 군대 가지 않아도 외적의 침입에서 안전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무임승차를 하려고 하면 결국 사회와 나라는 무너지게 마련이다.

 

 

주인/ 如心 홍찬선

 

우크라이나가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사실을

주인은 도둑과 강도가 침입했을 때

도망가지 않고 맞서 싸운다는 것을

싸우다 목숨을 잃을지라도 비겁하게

생명을 구걸하지 않는다는 의지를

죽을 각오가 있어야 살 수 있고

죽어야 가족과 나라가 산다는 진리를

 

우크라이나는 우리 모두에게 알려주었다

사욕(邪慾)에 빠진 폭력은

올바른 정신을 이기지 못하고

불법적인 침략전쟁은

정의로운 방어전쟁에 반드시 패한다는 것을

한 마음 한 뜻으로

온 뫔으로 깨닫게 한*

21세기의 밝은 스승이었다

* 뫔: 몸과 맘(마음)을 합한 말

 

 

우크라이나 국민은 러시아의 불법적인 침략에 대해 무임승차 하는 대신 스스로 주인이 되어 싸우고 있다. 일부 국민들이 피난을 떠난 것은 사실이지만, 신혼부부가 총을 들고 시민군에 참여하는 모습은 전 세계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군사적인 지원은 물론 경제적 및 심리적 지원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다.

제20대 대통령선거가 선택의 순간만 남겨 놓고 있다. 4일과 5일 사전투표를 하고, 9일이 정식투표일이다. 투표는 자유민주공화국인 대한민국의 주인으로서 무임승차하지 않고 주인임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권리이자 의무다. 스스로 주인이 되어 양심에 따라 소중한 주권을 행사하는 것, 그것이 바로 참된 주인이 되는 첫걸음이다. 선거 때 투표하지 않고 정치가 문제라고 핏대 높이는 것은 무임승차를 즐기는 머슴이나 하는 짓이다. 죽음을 무릅쓰고 총을 들고 전쟁터로 달려가는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주인됨이 참으로 멋지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