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4457만5000개...중국 민영 기업수.

10년 새 4배 증가, 전체 기업 92% 차지

 

 

'4457만5000개'

2021년말 현재 중국의 민영기업수다.

어마어마한 숫자다.

10년전에는 1085만7000개였다. 10년새 무려 4배가 는 것이다.

최근 중국 국가시장규제총국은 중국 기업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중국의 민간 기업 수는 1085만7000개에서 4457만5000개로 4배 증가했다.

전체 기업 수에서 민영기업이 차지하는 비율도 79.4%에서 92.1%로 증가했다.

민간기업은 성장안정화, 혁신촉진, 고용증대, 인민생활향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경제사회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중국의 민간 기업 수는 10년 동안 4배 증가하여 92% 이상을 차지한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에는 전국적으로 852만 5000개의 새로운 민간 기업이 설립 되어 전년 대비 11.7%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그 해에 전국적으로 390만개의 민간기업이 폐지되었고, 새로 설립된 폐업률은 2.2:1, 즉 2.2개의 신규사업장에 대해 1개소가 동시에 폐업하여 꾸준한 발전을 이어갔다.

대외 무역 분야에서 올해 1월부터 2월까지 민간 기업의 수출입은 16.1% 증가하여 전체 수출입의 48.2%를 차지하여 전년 동기 대비 1.1% 포인트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