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중고차 거래 플랫폼 Top 5..."중국차를 알면 명품을 안다"

"명품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수많은 답이 있을 수 있다.

명품은 기본적으로 품질우선, 장인정신이 담긴 제품이다. 하지만 정말 명품을 아는 이들의 답은 따로 있다.

"오래될수록 가치가 올라가는 것이다"라는 답이다.

그게 바로 명품이다. 그래서 명품을 가지고 싶어하는 것이다. 가지고 있으면 값이 오히려 올라가기 때문이다. 옛 보물들이 바로 명품이다.

자동차, 스마트폰에서도 이런 명품 대접을 받는 브랜드들이 있다.

이들 브랜드의 특징은 하나다. 중고값이 비싸다는 것이다. 신제품과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니 아무리 비싸도 신제품이 나오면 줄을 서 사게 되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자동차도 마찬가지다. 중국의 중고차 시장을 주목하면 중국에서 명품으로 치는 자동차 브랜드들이 드러난다.

중국의 일반 구매 소비자 대상(B2C, C2C) 중고차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들을 살펴봤다.

 

1. 과즈얼수처 瓜子二手车

양하오용(楊浩湧) 회장이 2015년 창업한 중고차 매매 플랫폼으로 중국 10대 중고차 사이트 순위에서 1위에 오른 이 브랜드는 이용자들에게 정가 판매, 완벽한 A/S 등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현재 중국 내 200여 개 도시에 오프라인 지점을 운영한다.

 

 

2. 우신얼수처 优信二手车

2001년 설립된 유명 중고차 거래 브랜드로 공개, 공정, 공평, 투명 등 네 가지를 특장점으로 내세운다. 소비자마다 천차만별인 구매 요인을 빅데이터로 분석해 한명 한명에게 최적화된 중고차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브랜드로 잘 알려져 있다.

 

3. 런런처 人人车

2004년 설립된 중고차 매매 및 A/S 브랜드로 C2C 모델로 처음 시장에 진출했다. 투명한 차량 정보 공개와 효율적인 거래 방식을 바탕으로 전국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4. 타오처 淘车

2018년 텐센트와 징둥(京東)이 공동 출자한 중고차 플랫폼으로 입소문을 타고 유명해졌다. '진짜 품질, 진짜 차값'을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워 소비자들을 끌어모았다. 특히 '중고차 전국 구매 프로젝트'로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에서 중국 전역의 중고차 매물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5. 얼수처즈자 二手车之家

2001년 설립된 중고차 매매 플랫폼으로 중국에선 국민 브랜드로 통한다. 중국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도시에도 많은 지점을 운영해 오프라인 유통망에서 강세를 보인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