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중국 과학기술 대학 순위, 칭화대 1위

 

중국 대학 서열이 갈수록 분명해지고 있다.

중국이 그만큼 중앙집권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의미다. 과거와 같은 지역 특색의 교육이 조금씩 무너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중국은 본래 지역마다 특색 있는 종합대학들이 있었다. 베이징이나 상하이 못지 않게 톈진, 우시, 충칭 등의 주요 지역 대학들은 전통과 독특한 교육 시스템을 가지고 지역에 맞는 인재를 배출해왔다. 

이에 중국에서는 지역 내 인재들의 상당수가 지역 대학의 교수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베이징대학 등에 지방 인재들이 몰려들지만 정작 한 지역의 최고 우수학생은 다른 지역으로 보내지 않는 게 전통이었다.

하지만 이 같은 전통은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중앙집권적으로 발전하면서 무너지고 있다. 아직 일부 지역대학이 인정받고 있지만 대부분의 대학은 인재를 베이징과 상하이의 대학들에 빼앗겼다. 

사실 중요한 일자리가 베이징과 상하이에 몰려 있으니, 일견 당연한 일이다. 

중국의 교육 획일화를 부추긴 것은 중국 당국이 지역간 거주 이전의 자유를 엄격히 제한했던 호구제를 완화한 것도 일부 기여한 바가 있다고 보여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대학 서열화에는 중국 공산당 정권 수립이래 중앙집권 체제 강화가 가장 큰 공로자(?)이다. 

이번 대학 순위 조사에 따르면 베이징, 칭화대는 8년 연속 중국에서 1, 2위 대학에 랭크됐다. 최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칭화대·베이징대·저장대는 8년 연속 800점 이상으로 상위 3위권을 차지했다.

성시별로 보면 100개 학교 중 베이징(北京)에 18개 교로 가장 많고 상하이(上海)·광둥(廣東)·산시(陝西)·후베이(湖北)·저장(浙江)에도 많다.

 

1위: 칭화대

2위: 베이징대

3위: 저장대

4위: 상하이교통대

5위: 푸단대

6위: 난징

7위: 중국과학기술대

8위: 화중과학기술대

9위: 우한대

10위: 시안교통대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