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동계올림픽 편파판정 항의 최용구 심판 자격박탈에 中네티즌 "자업자득이야"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당시 쇼트트랙 편파 판정 논란에 항의했다가 국제빙상경기연맹(ISU) 국제심판 자격을 박탈당한 최용구 심판이 "여전히 고의 판정이라고 생각한다. (항의했던 걸)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 심판은 2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지난 8일 ISU 기술위원회로부터 ISU 심판리스트 제외 통보를 받았다며 "저도 사람이기 때문에 속상하긴 했지만, 올림픽 때 많은 시합을 남긴 선수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각오하고 기자회견을 했던 것"이라고 했다."

최근 조선일보가 전한 소식이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편파 판정을 항의했던 최용구 심판이 국제심판 자격을 상실했다. 

글로벌 체육계는 하나의 거대한 조직이다. 법과 정의보다 자신들의 이익이 행동준칙이다. 가장 순수해야 할 스포츠를 관리하는 기구가 그렇다.

매번 비슷한 사태를 보면서 참으로 안타깝기만 하다. 누군가는 이 문제를 바로 잡지 않으면 안된다 싶다.

최소한 현재 체육 조직에 대응하는 자체 조직이라도 만들어지길 기원한다.

최 심판은 지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쇼트트랙 대표팀 지원단장으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참가했다. 당시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에서 한국 선수들이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탈락하자 기자회견을 열고 "명백한 오심이며 황대헌과 이준서 모두 실격을 줘서는 안 된다"고 했다.

최 심판이 당한 부당한 처우에 중국 네티즌은 반응도 참으로 유감이다. 

 

자업자득이야!

 

아주 좋아, 속 시원하게 해주네.

 

정의가 늦는 게 어쨌든 별로인 것보다 좋아.

 

잘됐어.

 

한국 사람들아, 나 정말 웃었어.

 

선수에게는, 올림픽 경기는 당당한 완전한 승리를 추구해야 한다고 말해야 해.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