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상(上)과 하(下)

위냐, 아래냐? 기준을 먼저 보라

위만 보는가?

불행의 시작이다.

위는 끝이 없기 때문이다.

아래만 보는가?

착각의 시작이다.

아래 역시 끝이 없는 탓이다.

 

위만 보고, 아래만 보는 것.

바로 삶이 속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저 위만 보고

그저 아래만 보라한다.

 

그래서

위만 보고 달려 지쳐,

스스로 못났다

자괴하고

 

아래만 보고 머물러

혼자만 잘 났다

오만하게 한다.

 

진정한 삶은

위를 이해하고

아래를 아는

그 곳에서 출발을 한다.

 

바로 기준이다.

하나의 선이다.

‘공자(孔子)의 일(一)’이다.

 

위를 알고 싶은가?

그럼 기준을 보라.

아래를 알고 싶은가?

그럼 기준을 보라.

 

상(上)과 하(下)는

이런 진리를 일러준다.

 

 

복잡한 탓에 상 자는 갑골문이 아니라,

금문에서 등장을 한다.

대표적인 지사(指事)자다.

생각을 글자로 만든 게 지사다.

하 역시 마찬가지다. 금문에서 나온다.

 

기준 위의 점이 위 상(上)이요.

기준 아래 점이 아래 하(下)다.

 

위를 알고 싶으면

위의 맨 아래를 보라하고,

아래를 알고 싶으면

아래의 맨 위를 보라한다.

 

기준을 알면

손쉽게 위로

아래로 간다.

 

기준에 살면서

조금만 힘쓰면 위가 되고

조금만 쉬면 아래가 된다.

 

그래서

상하 기준을 제대로 알면

삶이 여유로워 진다.

유유자적

원할 때 마음대로

상하로 움직인다.

 

그래서 대학(大學)에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側近道矣.”

(물유본말, 사유종시, 지소선후, 측근도의)

“사물에는 본과 말이 있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으며, 그 선후를 하는 것이 바로 도에 가까우니라.”

라고 한 것이다.

 

<부설>

사실 세상의 이름은 여러 가지다. 그 이름들 가운데 하나가 상하다. 한자 상과 하를 합쳐 만들어진 단어다. 위아래 모두라는 의미다. 상하보다 더 대표적인 이름이 ‘천지’(天地)다. 하늘과 땅을 합쳐 만들었다.

상하와 비슷한 이름으로는 시종(始終)도 있다. 시작할 시(始)와 끝 종(終)을 합쳐 처음부터 끝까지라는 의미의 '시종'도 있다. 열린 개(開)와 닫을 폐(閉)를 합친 개폐(開閉)가 있으며 왼쪽 좌(左)와 오른 쪽을 합쳐 좌우(左右) 등도 있다.

흔히 아는 '고금'이나 '춘추'라는 책 제목도 사실 이 같은 방법에서 나온 조어다. 특히 춘추라는 단어는 한 해의 인간의 생활에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강조해 한 해, 시간을 표시해 더욱 살갑다. 춘추는 가장 인간적인 의미를 내포한 시간의 개념인 것이다. 한 해라는 의미지만 책에서는 '시간' 또는 '역사'라는 뜻으로 쓰였다.

이름은 사물을 규정하는 가장 기초적 작업이다. 이름이 분명해서 그 뜻도 분명해지는 법이다. 한자의 특징은 이런 세상의 이름을 어떤 언어보다 쉽게 짓도록 한다. 무수한 많은 원소들을 간단한 집합으로 만들어 묶을 수 있는 것이다.

집합이 쉬우면 전체에 대한 성격이 명확해지고, 그 운용이 쉬워진다. 한나라 유방에게 한신(韓信)이 말했던 ‘다다익선’이 가능한 이유다. 1개 중대 내의 10개 분대를 분대장으로서 운영하면 10개를 다 따로 운용해야 하지만 중대장으로서 운용을 하면 1개 중대만 움직이면 된다.

간단히 사고방식의 차이다.

이런 단어 구성의 방법은 동서양의 명확한 의식 차이도 보여준다. 어느새 우리가 영어에 익숙해지면서 전원을 켜고 끄는 것을 스위치(switch)라고 한다. 한자로는 개폐기다. 열고(켜고) 닫는(끄는) 기계라는 의미다.

서양의 용어 스위치는 ‘변화’의 의미다. 이에 대응하는 한자는 ‘변환기’다. 크고 끄는 것의 변화를 주는 기계라는 의미가 된다. 사고의 방향이 변화가 없는 무(無)변화에서 유(有)변화를 향하고 있다.

반면 개폐기는 열고 닫히는 두 끝 안에 있는 모든 변화를 담았다. 3분의 1인 열리고, 3분의 2가 열리고 등의 변화도 이 안에 있다.

전자의 사고가 연역적 확장인 반면, 후자의 사고는 귀납적 사고를 위한 제한이다. 어느 것이 낫다고 보기는 힘들다.

여기서 조심스럽게 이런 언어적 특징이 서양에서 과학 중심 사고를 낳은 반면 중국에서 인문 중심 사고를 낳지 않았나 추론해본다. 한 가지 사실에서 뽑아낸 가정을 확대 적용해 가는 연역적 사고와 개별적이고 특수한 사실들을 토대로 일반적 논리를 뽑아내는 귀납적 사고는 모두 논리적 사고를 하는 대표적인 방법들이지만 둘 사이 차이는 천지차이다. 연역적 사고는 쉽게 가정을 만들어 실험을 통해 증명할 것을 요구하지만 귀납적 사고는 그렇지 않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홍콩에서 연애 게임 캐릭터와 실제 현실에서 만나는 '이차원 연애' 유행
남자 친구 만들기 게임이 현실 속에 실행된다면? 게임 캐릭터같은 남자친구랑 하루의 완벽한 데이트를 즐길 수 있다면 당신은 얼마를 지불 할 수 있나요? 좀 이상하게 들리는 질문이다. 돈을 주고 남자 친구를 만들고, 아무리 잘해준다고 해도 연애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까? 하지만 요즘 세대는 다르다. 홍콩에서 완벽한 남자 역을 사는 일일 데이트 ‘이차원 연애’가 유행하고 있다. 이차원이라 하는 것은 현실 3차원 속의 연애가 아니라, 2차원 게임 속의 연애를 현실로 이어간다는 의미를 포함한 것이다. 그런데 이 이차원 연애의 남자 친구들은 겉모습만 남자이지 실은 여성이 남자처럼 꾸미고 대행 역할을 해주는 게 특징이다. 그래서 홍콩에서 이 ‘이차원 연애’를 ‘cos-위탁’이라고 부른다고 BBC중국어 방송은 전했다. 코스프레의 코스와 역할을 맡기다는 위탁이 합쳐진 용어로 풀이된다. 실제 남성보다 어린 여성들이 접근하기에 여성이 더 안전해 남자 친구역을 여성이 맡게 됐다고 한다. 헌출한 키에 남성처럼 꾸미고, 데이트를 신청한 여성을 위해 하루 봉사를 한다. 대략 비용은 하루 500위안, 한화로 9만5000원 가량이다. 하루 데이트 경비는 신청한 여성이 같이 부담한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