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승리의 길, 도(道)

 

‘道外無物’

(도외무물: 도 밖에 사물이 없다.)

 

도가가 전한 진리다.

간단히

‘道中萬物’

(도중만물: 만물이 도 속에 있다)

이라는 의미다.

 

도가 있어야 만물이 있다는 뜻이다.

 

말은 쉬운데,

뜻은 어렵다.

 

그럼 도란 무엇인가?

사물을 담았다 하니,

도란 사물의 존재,

그 존재의 현존이다.

 

사물이 도요,

도가 사물이다.

 

사물을 알면 도를 아는 것이요,

역으로

도를 알면 사물을, 그 존재의 현존을 안다.

 

하지만

존재란 무엇인가?

다시

그 존재를 가능하게 한,

존재를 현존케 한

도란

도대체 무엇인가?

 

꼬리를 물며

질문에 질문만 남는다.

도란

인간에게 주어진 난제다.

그 난제의 총체인지도 모른다.

저잣거리

만물이 북적이듯

도란 그런 혼돈

카오스의

법칙인지 모른다.

 

복잡한 개념이지만

정작 한자의 원형은 쉽다.

 

도(道)는 금문에서 보인다.

손에 고기를 들고 큰 거리를 걷는 모습이다.

 

마치 제사장이

제례 행렬을 이끌고

제사를 지내러 가는 듯싶다.

 

 

 

길은 큰 길이요,

행렬은 장엄하다.

 

고대 전쟁을 앞두고

점을 쳐 승패를 가늠했고

실제 승리를 하면

감사의 제(祭),

승리의 제를 지냈다.

 

제사장이 제물의 고기를 들고

큰 길을

또박또박 걸으면

우리 편은 환호를 하며

길을 열고

적들은 그 길 양 옆에

엎드려 두려움에 떨며

제사 행렬을 목송(目送)했다.

 

인산인해의 군중이지만

마치 모세의 홍해 기적처럼,

제사장의 행렬 앞에

양편으로 갈라져 길을 낸다.

 

도는 그런 길이다.

사물이 승리하는 길이다.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

(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

 

도에서 하나가 나오고,

하나에서 둘이 나오며

둘에서 셋이 나오고

셋이 만물을 낳는다는 의미다.

노자 42장의 명언이다.

 

도는 승리의 길이다.

내 길이 승리의 길이라면,

내가 도에 있고,

내가 도에 있으면,

반드시 승리하는 것이다.

 

내 길은 승리의 길인가.

적이 두려워하고 내 편들이 환호하는 가를 보면 절로 안다.

 

그런 도에 크고 작음이 문제일까?

어떤 성공은 큰 성공이고,

어떤 성공은 일천한 것일까?

 

“화려한 장미가 부러운가?”

저 들 풀에 물어보라

 

“들판의 쭉 뻗은 소나무가 부러운가?”

절벽의 고송(孤松에게 물어보라

 

“놀기만 하는 여왕개미가 부럽지 않은가?”

일만하는 개미에게 물어보라.

 

“얼마나 속된 질문들인가”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풀도, 소나무도, 개미도 답하지 않는다.

 

그저 인간만

스스로 도를 나누고

도의 기준을 만들며

도의 크기를 견주고

“이 도가 바로 도다”고 한다.

심지어

“이 도만이 도다”고 한다.

 

도가 어찌 이름이 있을까?

우리 그저 그 도(道) 속에,

그 속 만물 가운데

하나의 먼지와 같은 존재일 뿐인데

어찌 도가 우리의 잣대로 측량될까.

 

그래서

도를 도라 하면 일상의 도가 아니라

비상(非常)의 도,

특수의 도라 한 것이다.

 

도는 도일뿐이다.

인간의 잣대로

설사 작아 보여도 도는 도요,

커 보여도 도는 도일뿐이다.

 

오직 인간만이

헛되고 어리석게도

스스로의 잣대로 크다 하고

스스로의 잣대로 작다할 뿐이다.

 

그래서 선인들은

“雖小道, 必有可觀者焉”

(수소도 필유가관자언)

도는 아무리 작아도 반드시 드러나는 법이라 한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