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인(人), 일하는 게 사람이다

한자는 사람에게 “그저 살으라”라고만 한다.

 

‘사람이란 어떤 존재인가?’

 

누군가 저 강의 달을

처음 본 뒤

강물처럼 흘러간

수많은 인간들이

던진 질문이다.

 

‘인간, 너는 누구냐?’

‘인간, 나는 도대체 누구냐?’

 

강물처럼 흘러간

수많은 인간들이

수많은 답을 남겼다.

 

남긴 답이

런던 국립도서관 철학 서고를

전부 채우고도

남는다.

아직도 그 답을 하는 책이

교보문고에 등장을 한다.

 

답에 대한 해설서도,

답에 대한 평가서도

줄줄이 나왔다.

 

보다 정교한 답을 위해

질문도

‘인간의 사유란 무엇인가?’

‘삶과 죽음이란 무엇인가?’

등등으로 수없이 쪼개지고

나뉘어졌다.

그 답들도, 그 답에 대한 답들도

산을 이룬다.

 

사실 한자로 치면

사람 인(人)자보다 단순한 게 없다.

 

하나 일(一) 다음으로 쉽다.

둘 이(二)만큼 쉽다.

왼쪽, 오른쪽 단 두 획이면

인(人)자 하나가 써진다.

 

너무 쉬워서

수많은 서예가들을 곤란하게 한 게

바로

사람 인(人)자다.

예쁘게 쓰기 어렵고

크게 쓰기 어렵다.

 

잘 쓰기 어려운 것은

그 쉬운 글에

너무도 복잡한 사람 인(人)의 일생이 담긴 때문이다.

 

그래서

오른쪽 획은 인의 품(品)이요,

왼쪽 획은 인의 격(格)이라 했다.

 

일생일세, 평생을 살아

한 사람의 역사가 만들어진다.

 

갑골문에서 사람은

허리 굽혀 일하는 모습이다.

몸을 숙여 벼를 수확하는 이가

바로 사람이다.

 

 

 

살고 싶은가, 노동을 하라!

한자, 사람 인(人)이 전하는

짧고 강한 메시지다.

 

그래서 사람은

일생일세, 한 삶이 고달픈건지 모른다.

 

그래서

오른쪽 회과

왼쪽의 획이

서로 어울려

사람 인(人)을 쓰듯

타고남 위인(爲人)과

갖춰감 주인(做人)이

어울려 사람의 품격

인품(人品)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타고난 것만이 아니라

삶 속에 다듬어가는 게

사람의 품격인 것이다.

 

그래서

사람 인(人)자는 크게 쓰기 어렵고

사람 인품은 크게 되고 어려운 게다.

 

그래서

사람은 매번 갈림길에서

갈등하며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갈등하는 것이다.

 

어쩌면 그래서

사람을

인간(人間), 사람과 그 사이라고

하는지 모른다.

 

그래서

인간은 서로 의지하며

살아야 사는지 모른다.

 

그래서

일생일세

수많은 만남과 이별이 있고,

수많은 후회와 희망이 있는지 모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