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 텍사스 초등학교 총기난사 사건에 중국 네티즌 "왜 총을 금지하지 않는거야?"

"24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의 한 초등학교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해 어린이 14명 등 최소 15명이 숨지는 참사가 빚어졌다."

세계일보가 전한 미국 소식이다. 미국에서 또 총기 사고가 났다.

이번엔 초등학교여서 충격적이다. 무엇보다 이번 사고는 18세 소년이 저질렀다. 그는 무슨 이유로 자신보다 어린 아이들에게 이 처럼 잔혹한 짓을 저질렀을까?

동시에 미국에서 시행하는 총기소유의 자유에 대한 의구심이 다시 커지고 있다.

중국에서도 적지 않은 논란이 되고 있다.

AP통신 등 미국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사고의 총격범은 샌안토니오에서 135㎞ 떨어진 곳에 거주하는 18살 샐버도어 라모스였다.

현장에서 사실됐다. 그는 14명의 학생을 총으로 쏴 죽였고 교사 1명도 살해했다.

그는 학교에 진입하기 전에 할머니에 대해 총을 쐈 중상을 입혔다. 그는 현장에 출동한 경찰과 총격전에서 사살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과정에서 경찰관 2명도 총상을 입었지만 경상으로 알려졌다.  

현재 범행 동기는 전해지지 않고 있지만, 심리적 불안이 원인으로 보인다. 

다만 그가 18세가 되는 순간 총기를 합법적으로 구입해 바로 사고를 저질렀다는 점에서 총기 소지 자유에 대한 미국 사회의 의구심을 커지고 있다. 

총기 소지의 자유는 유지할 것인가? 

하지만 미국 사회에서 최소한 자신의 몸을 자신이 지켜야 한다는 자유는 기본에 속하는 것이어서 쉽게 폐지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강한 이유이기도 한다. 급한 순간 모두가 무장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총기 난사 사건과 총기를 제대로 다루지 못해 나온 오발 사고가 이어지면서 미국 사회에서도 총기 소지에 대한 자유를 좀더 축소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18세인 총기 소지 허가 연령을 20세로 높이자는 주장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중국이나 아시아에서는 좀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왜 모두가 총기를 소유하도록 해 이런 사고를 자처하는 지, '위험한 자유'는 없는 낫다는 식이다. 

과연 그럴까? 본래 자유란 위험을 감수할 용기 있는 자만이 누리는 것인지 모른다. 

 

이런 자유는 없어도 그만이야.

 

총기가 제한 없이 유행하여, 총기 난사가 속출해, 미국식 인권의 허위를 비추는 거지!

 

미국 총기 난사 사건은 죽지 않는 암적인 존재야.

 

이것이 총기 허용의 결과야.

 

왜 총을 금지하지 않는 거야?

 

이성을 잃고 미쳐 날뛰었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