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국내 요리 거장 Top 5...스정랑 1위

요리를 예술의 경지로 만든 건 중국인들이다.

요리를 하려 준비하는 순간부터 청각과 시각을 사로 잡고, 요리가 진행되면서 후각까지 혼을 빼놓는다.

눈 앞 향긋한 요리가 완성돼 나오는 순간, '아 이 것은 예술이다' 싶다.

중국 몇몇 전통요리는 사람의 오감을 하나씩 하나씩 점령해 간다. 

한 점 입에 넣는 순간 입에 도는 향긋함은 공감각적 만족의 극치다. 한 입 깨무는 순간 떠지는 요리의 질감이란... 더 말할 게 없다. 

눈으로 보고 먹어보라 권하고 싶다.

중국 요리는 식감에서도 강약경중의 조화를 중시한다. 예컨대 부드러운 가지 속에 바삭거리게 튀기거나 구운 고기를 넣고 이를 다시 얇은 옷을 입힌 뒤 튀기는 식이다. 한 요리에 바삭거림부터 시작해 고소하면서 조금 딱딱한 고기, 그리고 그 고기를 둘러싼 부드러운 가지의 살까지 세가지 느낌과 맛이 담기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중국 요리는 아무나 만들 수 있는 게 아니다. 

예술로 요리를 보는 이들만이 매번 새로운 경지의 맛에 도전하고 그 맛을 그릇에 담아낼 수 있다. 

현대 중국 요리의 명장들을 소개한다.

 

1. 스정량 史正良

1946년 쓰촨(四川)성 몐양(阳陽)에서 태어난 스정량(史正良)은 중국식 요리사인 쓰촨(四川)성 특1급 요리사로 쓰촨 요리에 능통해 여러 차례 해외 초청을 받아 요리 시연을 했다. 또 80여 편의 요리 관련 글과 논문을 써 중국 최초의 10대 '중화(中華)명셰프' 칭호를 받은 중국 국보급 요리사 순위 중 하나다.

2. 가오빙이 高炳义

1947년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에서 태어난 수석 요리사인 중국 루차이(菜烹饪)는 요리 기술의 대가로 그가 연구한 요리는 500여 개 이상이며, 100편 이상의 '중국 요리 대가의 정수'를 편집했다. 또한 수년간 세계·전국 요리 대회의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3. 양관이 杨贯一

1932년 광둥성 중산에서 태어난 杨贯一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요리사로 중국 요리의 대가이다. 그는 CCC금메달, 프랑스 요리사의 최고 영예인 백금상 등 많은 영예를 안았으며 전복 요리에 능통하고 대표 요리인 ‘아일전복’은 ‘전복의 왕’이라는 칭송을 받을 정도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4. 동진샹 董振祥

董振祥은 1961년 베이징에서 태어났다. 그는 중국 요리의 대가이자 요식업의 천재이다. 그의 오리구이 레스토랑은 매우 인기가 있으며, 국내 요식업계에서 MBA 학위를 취득한 유일한 요리사이자 요식업 관리자로서 국내 외식업 지위가 높다.

 

5. 순리신 孙立新

유명 셰프 집안에서 태어나 3대째 국보급 셰프로 활동하고 있는 孙立新은 중국의 정부 연회의 대가이며, 쓰촨, 광동, 산둥 및 기타 요리에 능한 스타급 호텔의 주방장으로 중국으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