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서 한국 드라마 방영 잇따라…올해 들어 13번째

 

중국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에서 한국 드라마 방영이 잇따르고 있다.

한류의 미세한 흐름도 허락하지 않았던 중국의 변화여서 주목된다. 하지만 이미 한국 콘텐츠의 적지 않은 부분이 중국 당국의 문화정책과 맞지 않는 부분이 많아 과거와 같이 한류가 완전한 도도한 흐름을 만들어 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이 금기시하는 주제들을 피한 맞춤형 콘텐츠 제작도 고려할만 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30일 중국 온라인 플랫폼 등에 따르면 중국 3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중 하나인 아이치이(愛奇藝)는 지난 25일부터 한국 드라마 '배드 앤 크레이지'를 방영하고 있다.

이동욱과 위하준 등이 출연한 '배드 앤 크레이지'는 최근 중국 방송 규제 당국인 광전총국 심의를 통과했으며 올해 중국에서 방영되는 13번째 한국 드라마다. 

중국은 2016년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갈등 이후 한국 드라마의 방영을 중단했다가 올해 1월 '사임당 빛의 일기'를 시작으로 잇따라 한국 드라마 방영을 허가하고 있다.

올해 광전총국 심의를 통과한 한국 드라마는 '사임당 빛의 일기', '발 잘 사주는 예쁜 누나', '또 오해영', '슬기로운 감빵생활',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김비서가 왜 그럴까',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 '이태원 클라쓰' 등이다.

중국 대중문화계 관계자는 "광전총국의 심의를 기다리던 드라마들이 잇따라 심의를 통과하고 있다"며 "한국 드라마의 높은 경쟁력과 함께 한중 문화 교류의 해를 맞아 양국 간 콘텐츠 교류가 더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