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19 봉쇄로 중국 진출 한국 기업 90% 피해 입어


중국 당국의 코로나19 방역 봉쇄로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90%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견 당연하지만, 그 수치가 조사를 통해 보다 정확히 알려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가 최근 중국 내 177개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 기업의 88.1%가 고강도 방역 조치로 인해 기업 경영에 피해 또는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 매출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기업은 97.4%에 달했다. 작년 동기 대비 매출 감소율이 50%가 넘는 기업은 31.4%였다.

또한 응답 기업의 95.5%는 매출 감소가 올해 하반기까지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상반기에 투자와 고용이 감소한 기업은 각각 전체의 69.9%와 66.7%였고, 하반기에 투자와 고용 피해가 커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은 각각 70.5%와 67.3%였다.

한국 기업들은 중국의 고강도 방역 정책으로 인한 주요 애로사항으로 '이동 제한'(16.8%), '영업·마케팅 활동 제한'(16.8%), '물류·공급망 차질'(15.9%) 등을 꼽았다.

봉쇄령 해제 이후 업무 정상화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 '50% 이하'라고 응답한 기업이 41.5%였고, '30% 이하' 답변도 22.4%에 달했다.

다만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 업무 정상화 속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업무 정상화를 70% 이상 달성했다고 답한 기업은 제조업의 경우 68.3%였던 반면 비제조업은 28.3%로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한편 향후 중국 내 사업 계획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55.3%의 기업들이 사업 축소·중단·철수·이전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기존 사업계획을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35.9%였고, 사업을 더 확대한다는 답변은 7.3%에 불과했다. 사실 한국 기업에 대한 중국의 경영환경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국내 기업들의 빠른 발전로 기술 격차도 줄어들면서 생산단가 경쟁이 불리하는 한국 기업들은 경쟁력이 갈수록 약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