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올해 총부채, GDP의 275%로 역대 최고 전망

 

중국 당국이 신용을 늘리며 경기 부양에 나섬에 따라 올해 중국 정부·기업·가계의 전체 부채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세계가 인플레이션에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유독 중국만 교묘하게 그 파고를 피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그 덕이 재정을 통한 경기 부양이 가능한 것이다. 

6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 산하 국가금융발전실험실(NIFD)은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총부채(정부·기업·가계부채) 비율이 작년보다 11.3%포인트 오른 275%가량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중국의 국가 총부채 비율은 중국 정부의 부채 확대 억제 노력으로 2017년 이후부터 하향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한 부양 정책으로 재차 급등했다. 당시 그 해에만 부채비율이 23.6%포인트나 올랐다.

올해엔 상하이와 베이징 등 주요 도시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장기간 봉쇄돼 경제 성장에 적신호가 켜졌다.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정부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함에 따라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정부 목표치(5.5%)에 미달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에 경기부양으로 정책 방향을 선회하면서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대신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대상 대출을 늘리는 등 신용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최근 분기별 회의를 마치고 발표한 성명에서 부채비율을 "기본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는 문구를 삭제, 이런 정책 주안점의 전환을 강조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대차대조표를 여전히 확대해야 하고 경제의 부채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게 인민은행의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의 생활물가 역시 상승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주목된다. 중국 당국이 강하게 물가를 통제하고 있지만 생활물가를 중심으로 슬금슬금 오르는 것은 어쩌지 못하고 있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중국은 워낙 인구가 많고 이들이 이루는 경제활동의 규모가 커 웬만한 작은 변화는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한 번 그 변화가 추세로 굳어지면 누구도 막지 못하는 거대한 태평양의 파도같은 위력을 발휘한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