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신용을 늘리며 경기 부양에 나섬에 따라 올해 중국 정부·기업·가계의 전체 부채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세계가 인플레이션에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유독 중국만 교묘하게 그 파고를 피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그 덕이 재정을 통한 경기 부양이 가능한 것이다. 6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 산하 국가금융발전실험실(NIFD)은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총부채(정부·기업·가계부채) 비율이 작년보다 11.3%포인트 오른 275%가량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중국의 국가 총부채 비율은 중국 정부의 부채 확대 억제 노력으로 2017년 이후부터 하향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한 부양 정책으로 재차 급등했다. 당시 그 해에만 부채비율이 23.6%포인트나 올랐다. 올해엔 상하이와 베이징 등 주요 도시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장기간 봉쇄돼 경제 성장에 적신호가 켜졌다.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정부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함에 따라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정부 목표치(5.5%)에 미달할 것이란 전망
'6.7%' 중국 선전시의 지난 2021년 지역총생산(GDP) 증가폭이다. 중국 국가 GDP 성장률 8.1%에도 못미친다. 선전의 GDP를 다시 언급하는 이유가 있다. 선전은 중국 제조업의 파일럿이다. 뭐든 선전에서 시험을 하고 전국 단위로 퍼진다. 최근에는 IT 제조업의 선두에 서 있다. 선전의 경제 증가는 자연히 중국 경제 전체를 이끄는 동력이 된다. 지난 11일 개최된 선전시의 지방정부 인민대회에서 담웨이중(潭偉中) 선전시장은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2021년 경제 성적표를 공개했다. 2021년 선전의 GDP는 3조 위안을 돌파해 3조700억 위안으로 6.7%, 2년 평균 4.9% 성장했다. 사실 3조 위안을 돌파한 것이 주목되는 것일 뿐 선전시의 이 같은 성적은 코로나 19의 재 확산에 몸살을 앓는 중국 경제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항상 중국 발전을 견인해온 도시의 성장세가 중국 지역의 평균이라고 할 수 있는 국가 발전 추세에 뒤진 것이다. 물론 성 정부는 자화자찬을 했다. 시 정부는 업무보고에 따르면 2021년 선전 경제는 질 높은 발전으로 새로운 단계에 올랐다고 자평했다. 코로나19 사태, 미중 무역마찰 등의 영향 속에서도 시
중국의 31개 성(省)급 지방정부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 목표치를 발표했다. 홍콩 명보에 따르면 면세점 특수를 누리는 하이난(海南)이 가장 높은 9%를 제시했다. 하이난의 올해 면세점 매출 규모는 지난해 대비 70%가량 늘어난 1000억 위안(약 19조 원)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 경제 성장률 12.9%로 중국 전체 1위를 차지한 후베이(湖北)성은 올해 성장률 목표를 7%로 설정했다. 하이난, 후베이를 포함, 올해 목표치 ‘7% 이상’을 제시한 지방정부는 모두 9개다. 산시(山西) 등 12개 지방정부는 ‘6% 이상~7% 미만’을 목표로 설정했다. 나머지 10개 지방정부는 '5% 이상~6% 미만'을 목표치로 잡았다. 중국의 3대 경제 중심지 광둥(廣東), 장쑤(江蘇), 산둥(山東)이 모두 5.5%, 베이징과 톈진이 가장 낮은 ‘5% 이상’을 목표로 설정했다. 31개 지방정부 중 올해 목표치를 작년보다 높게 잡은 곳은 시짱(티베트, 8%), 닝샤(7%), 허난(7%) 등 3곳에 그쳤다. 중국 정부는 지방정부들의 성장 목표치를 토대로 다음 달 열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를 제시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12월 중국 국무원 싱크탱
올해 우리나라의 3분기(7~9월) 경제성장률이 0.4%로 둔화해 연간 성장률2%에 미치지 못할 전망이다. 24일 한국은행은 ‘2019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0.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2.0% 상승한 수치이다. 해당 발표는 속보치로, 추후 잠정치에서 수정될 수 있다. 3분기 민간소비는 승용차 등 내구재 소비가 늘어난 결과로 0.1% 늘었다. 해외여행(국외소비)과 의류 등 준내구재 소비는 줄었다. 정부소비가1.2% 증가했다.'문재인 케어'로 건강보험급여 지출이 늘어난 점을 원인으로 꼽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한은 관계자는 "고3 무상교육으로 교육비 일부가 GDP 내민간 소비에서정부 소비로 이전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건설투자는 건물·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5.2%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가 늘어나면서 0.5% 증가했지만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투자는 줄었다.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4.1% 증가했다. 수입은 0.9% 늘었다. 시장에서는 3분기에0.5∼0.6% 성장할 것으로예측했으나 실제 수치는예상을 밑돌았다. 정부의 재정지출 효과가 반감한 점이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