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생산량으로 보는 중국 명차(名茶) Top 4...롱징이 1위

 

차는 중국을 대표하는 음료다.

녹차 잎을 우려내 마시는 것으로 제조법에 의해 수십종의 차가 있다. 꽃을 말려 우려 마시는 화차까지 더하면 그 종류는 수백가지로 늘어난다.

그 역사도 중국 역사만큼 오래 됐다. 좋은 차는 좋은 술 못지 않게 귀하다. 둘 다 모두 중국인의 생활문화를 대표하는 음료다. 술과 차를 빼고는 중국 문화를 이야기하기 힘들 정도다.

최근 커피가 중국인 입맛을 사로잡고 있지만, 차는 여전히 중국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과거 중국을 방문하면 택시 기사들 운전석 한 귀퉁이에는 반드시 차를 담아 마시는 차통이 있을 정도였다. 중국 사무실에는 꼭 따뜻한 물을 제공하고 있어 사람들이 언제든 차를 우려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연히 중국은 차 생산량 세계 1위 국가이다. 2016년부터 중국의 차 생산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생산량을 기준으로 중국인들이 어떤 차를 선호하는지 살펴보자.

 

1. 시후룽징(西湖龙井)

시후롱징은 저장성(浙江省)의 대표적인 차 중 하나이며 녹차에 속한다. 찻잎의 모양은 납작하고 반들반들하며 청록색에 현미의 노란색이 섞여있다는 특징이 있다. 차를 우리면 황록색을 띄며, 향이 짙게 코를 찌르는 특징이 있다.

 

2. 둥팅 비루어춘(洞庭碧螺春)

둥팅 비루어춘은 장쑤성(江苏省)의 대표적인 차 중 하나이며 녹차에 속한다. 이 차는 역사가 매우 유구하다는 특징이 있는데, 약 130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찻잎의 모양이 가늘고 길쭉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차를 우리면 연록색을 띈다.

 

3. 신양마우젠(信阳毛尖)

신양마우젠은 허난성(河南省)의 대표적인 차 중 하나이며 '녹차의 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북송 때의 문학가 소동파가 신양마우젠 차를 극찬한 기록이 전해진다. 이 차는 단맛이 난다는 특징이 있다.

 

4. 루안과펜(六安瓜片)

루안과펜은 안후이성(安徽省)의 대표적인 차 중 하나이며 녹차에 속한다. 잎의 가장자리가 해바라기씨와 비슷하게 생긴 특징이 있다. 이 차를 뜨거운 물에 담가 놓으면 익은 밤의 향이 나는데, 이는 루안과펜의 품질을 감별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