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이든 대통령의 미중정상회담 예정 언급에 중국 네티즌 “찬성 vs 반대”

 

미중 정상회담이 준비돼고 있다. 

미국은 적극적인 반면, 중국 외교부 입장은 '아직 결정된 게 없다'는 것이다. 약간 미국의 몸이 더 달아오른 듯 싶다. 

외교는 흔히 남녀 관계에 비유된다. 몸이 먼저 달아오른 쪽이 항상 손해다. 

이번엔 미국이 손해를 볼 듯 싶다. 

사실 당장 미중 사이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세계 인플레이션 공동 대응 등의 현안이 산적하다.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게 없다. 

가까이에는 타이완 문제도 있다. 이것도 부족해 북한은 심심치 않게 도발을 하며 미국을 자극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미국의 글로벌 경영에 비협조를 넘어 방해가 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미국이 이런 중국의 마음을 돌려, 중국을 끌어 안을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시절의 미국의 조치들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신뢰를 크게 상실한 상태다. 

미국 역시 중국의 각종 대미 정책에 경각심이 커질대로 커진 상황이다. 가끔 양국 정치인들간의 어린아이 기 싸움 같은 갈등이 불거지곤 할 정도다.

하지만 미국 입장에서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완전히 배제하는 건 스스로에게도 큰 손실이다. 중국은 미국의 이 같은 가능성마저 염두에 두고 러시아, 남미를 끌어들여 자신만의 글로벌 공급망 시스템을 구축하려 노력하고 있다.

자칫 세계 경제가 과거 냉전시대와 같이 양분돼 경쟁하는 구도로 고착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미중 정상회담은 이 같은 흐름 속에 나오는 것이어서 글로벌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중국 외교부 왕원빈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중 정상회담에 대해 의견을 밝혔다. 앞서 20일, 미국 대통령 바이든이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 회담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표명한 바 있다. 두 정상은 아직 대면 회담은 진행한 바가 없으며, 바이든 대통령은 정확한 회담 형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왕원빈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중 양국은 여러 형식으로 지속해서 소통하고 있지만, 미중 정삼회담에 대해서는 아직 전달할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중국 네티즌은 미국과 중국이 잘 소통했으면 좋겠다는 의견과 미국과 소통할 필요없다는 의견이 나뉘고 있다.

 

우린 못 들었어! 코로나 치료나 먼저 하세요!

 

회담을 하면 하는 거고, 말면 마는 거지. 전달할 내용이 없다니, 대답 참…

 

미중 관계를 지지합니다!

 

미국이랑은 얘기할 게 없어. 신뢰가 없잖아.

 

중국과 미국이 잘 소통했으면 좋겠어요.

 

바이든: 미중 회담이 곧 진행될 겁니다. 왕원빈: 처음 듣는 소리입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