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 주류 브랜드 가치 순위, 1위 중국 마오타이주

 

마오타이.

건국 초기 중국 당국의 공식 술이다. 마오쩌둥의 마오여서 마오의 술이라고도 한다. 시진핑 국가 주석이 마오 주석에 비견되지만 술만 본다면 '택도 없는 소리'다.

시진핑 주석의 술은 '시펑주'가 있다. 

이 시펑주는 시진핑 주석이 집권 2기에 유행하기 시작했다. 고급술로 인정돼 인기를 끌었지만 마오타이에 비하면 시펑주는 술도 아니다. 

중국에서 술 하면 여전히 마오타이이고, 국가주석도 여전히 마오 주석이다.

영국 브랜드 평가기관 브랜드 파이낸스가 '2022년 세계 주류 브랜드 가치 순위 50'을 최근 발표했다. 상위 10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마오타이Moutai(중국)

2위, 우량애Wuliangye(중국)

3위, 루저우라오자우Luzhou Laojiao(중국)

4위, 양해Yanghe(중국)

5위, 헤네스Hennessy(프랑스)

6위, 싱화춘Xinghuacun(중국)

7위, 바카디Bacardi(영국)

8위, 구징궁주Gujing Gong Jiu(중국)

9위, 잭 다니엘 Jack Daniel's(미국)

10위, 조니 워커Johnnie Walker(영국)

 

중국 마오타이가 세계 브랜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016년부터 7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한 것이다. 마오타이의 브랜드 가치는 429억 달러이며, 이는 마오타이가 중국 시장의 주류 업계를 이끌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마오타이는 고량으로 발효한 백주를 판매하는 주류 브랜드이다. 'i-Maotai'라는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을 활용해 중국 고객에게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편리성을 높였다. 또한 몽우유업(蒙牛乳业)과 합작해 알코올이 함유된 아이스크림을 내놓아 젊은층을 공략하기도 했다.

순위에 든 50개 브랜드의 총 가치는 1426억 달러다. 중국은 10개 브랜드가 순위 안에 들었으며, 총 가치는 976억 달러로 68.4%의 비중을 차지한다. Top 10 중 중국 브랜드가 6개로 과반수를 차지한 것을 보면 세계 주류 브랜드에서 중국 브랜드는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랜드 파이낸스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주류 브랜드는 세계 각 국가의 폐쇄 조치로 인한 수요 변동 등 상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현재 경제가 회복되면서 주류 업계가 다시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