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아이폰14 예상 출고가 공개에 中네티즌 "화웨이, 샤오미도 좋다!"

 

15%.

애플의 새 시리즈 '아이폰 14'의 가격 인상 폭이다. 

애플이 최근 이 같은 인상폭을 밝혔다. 거의 독점 시장에 대한 조치 수준이다. 그만큼 아이폰에 충성고객이 많은 덕이다.

아이폰 충성고객은 전세계에 두루 있지만 특히 중국에 많다. 

거리를 지나며 아이폰의 독특한 벨 소리가 들리면 모두가 쳐다본다. 순간 느끼는 감정은 '아, 좀 있는 사람이구나' 하는 것. 

주목을 받는 사람의 어깨도 으쓱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예측으로는 아이폰14 시리즈의 평균 판매가는 1000~1050달러로 전망된다. 과연 중국의 고객들의 충성은 변함이 없을 것인가? 

일단 아이폰14 시리즈 출고가 소식에 중국 네티즌의 의견이 분분하다. 비싸지만 애플 스마트폰이 사용하기에 좋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애플 제품보다는 화웨이나 샤오미 등 중국산 제품을 구매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사실 시장에서는 '중국 소비자들은 어쩔 수 없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지금까지 애플이 아이폰 가격을 올리고, 새로운 버전의 기능 수준이 크게 달라진 것이 없어 매번 소비자 불만이 고조됐지만 결과는 항상 애플의 승리였다.

그만큼 애플의 아이폰은 매력적이다. 디자인도 그렇지만 이용을 하면서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세상을 접하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는 한다.

'아이폰을 영원이 지지합니다.' 한 네티즌의 글이 가장 솔직한 감성 표현이다 싶다. '애플이여, 영원하라' 중국 충성고객들의 환호가 들리는 듯 싶다. 

특히 최근 삼성 플립 스마트 폰의 언팩 행사가 '2%부족'하는 평이 나오면서 그 환호소리는 더욱 커져만 간다.

 

지금 화웨이 가격에 1-2천 위안만 더하면 애플 가격이에요. 국산품도 싸지 않습니다.

 

애플폰이 사용하기 좋긴 해요.

 

화웨이, 샤오미도 좋습니다. 국산품을 사는 게 더 가치있지 않나요.

 

안 삽니다. 화웨이 살 거예요.

 

가격 10배 올려주세요. 어차피 전 안 사요.

 

애플 핸드폰을 영원히 지지합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