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현급(县级) 전시 컨벤션 산업 순위 Top 25

 

중국은 '전시회'의 나라다. 각종 박람회, 전람회 등이 열려 제조사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는 일이 다반사다. 세계 어느 나라보다 많을 듯 싶다.

광활한 국토에 각 지역 산업이 고르게 발전하고 있는 때문이기도 하지만, 혹자는 의심 많은 중국인들의 상업 본능이 작용한 것이라 분석하기도 한다.

실제 중국은 고래로 오늘날의 전람회와 비슷한 장이 곳곳에서 열렸다. 각 지역 상인들은 주류, 차, 도자기, 생필품 등 자기 지역 공방에서 생산한 물건을 들고 장에 참가해 교역을 했다. 

상업(商業)의 한자 상(商)은 춘추전국시대 이전 상나라 상인에서 유래했을 정도다. 이 같은 전통은 중국의 개혁개방과 함께 더욱 발전해 꽃을 피우고 있다. 

2021년도 중국 현(县) 및 현급시(县级市)의 전시 컨벤션 산업 데이터 통계 보고서가 최근 발표됐다.

중국 푸졘성(福建省) 취안저우(泉州)의 진장(晋江), 스스(石狮), 난안(南安), 더화(德化), 안시(安溪), 후이안(惠安) 6개의 지역이 전국 및 현급시 전시 컨벤션 산업 데이터 순위 25위 안에 들었다.

진장, 스스는 3위와 5위를 차지하며 취안저우의 전시 컨벤션 산업이 타 지역에 비해 발전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중국 현 및 현급시에서 이루어진 전시회 수는 총 183회이다. 전국에서 개최된 전시회 수의 3.26%를 차지한다.

또한 전시회의 총 면적은 209만9900㎡로 전국에서 개최된 전시회 총 면적의 2.07%이다. 그 중 이우(义乌), 쿤산(昆山), 진장이 Top 3에 들었다. 각각 전시회 개최 수는 46회, 58회, 12회이며 개최 전시회의 총 면적은 72만㎡, 35만㎡, 25만㎡이다.

또한 각각 현, 현급시, 자치주(自治州)에서 개최되는 총 전시회 수의 25.14%, 31.69%, 6.59%를 차지하며 총 규모의 33.03%, 16.04%, 11.90%를 차지한다.

최근 2년간 코로나19 방역 통제가 상시화되면서 세계의 전시 컨벤션 산업이 68% 이상 위축되었었지만 취안저우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동시에 진행하는 형식으로 다수의 대형 전시회를 안전하게 개최했다. 진장에서만 해협양안식품교역회기민태식품교역회, 중국국제신발산업기국제체육산업박람회, 중국국제인테리어건축자재박람회 등 3대 브랜드 전시회가 열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