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일본 장거리 미사일 1000발 보유 검토에 中네티즌 "일본은 지구에서 사라져야"

 

"일본 정부가 장거리 미사일 1000발 이상을 보유하려고 한다."

최근 중국을 뒤흔드는 소식이다. 과거 아시아 전역을 뒤흔들었던 일본 군국주의 망령을 기억하는 이들의 가슴을 철렁 내려앉게 만드는 소식이다.

중국이 군사대국으로 부상하자 일본이 대응에 나섰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일본은 과거 전범국으로, 평화헌법을 만들고 방어 개념을 벗어난 어떠한 군사적 역량도 키우지 않기로 국제 사회에 약속을 한 나라다.

그런 일본이 군사력 증강이 과연 옳은 일인가는 더 논의가 필요한 일이다.

최근 일본 매체들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장거리 미사일을 1000발 이상 보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유사시 중국에 대한 반격 능력을 강화하고, 대만에 대한 중국의 침공를 염두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1000발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일본이 이미 장거리 순항 미사일 생산 능력을 갖추었다는 의미이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의 첫 장거리 미사일은 당초 계획보다 2년 앞당긴 2024년경에 자위대에 배치될 것으로 전망된다. 매체들은 일본 정부가 올해 말 국가 안보 전략을 수정해 적국의 미사일 발사기지를 공격할 수 있는 반격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선언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중국 네티즌은 일본 장거리 미사일 보유 뉴스에 일제히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우리 중국인은 준비를 잘 해야 합니다!각 방면에서 준비를 잘 하면 문제가 일어나지도 않을 것이고 두렵지도 않을 것입니다.또한 모든 중국인은 역사를 잊으면 안 됩니다.

 

일본을 지구에서 지워버립시다.

 

일본을 해저 세계로 보내버립시다.

 

핵폭탄을 아직 덜 맞았구나.

 

일본은 너무 나쁩니다.

 

일본이 망하지 않으면 세계는 평화롭지 않습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