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상하이 100대 서비스업 기업, 1위 녹지공고집단고분유한회사

 

서비스업은 중국에서 급성장하는 업종 중 하나다.

내수 시장이 커진 덕이다. 워낙 소비자 수가 많다 보니 그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서비스들이 다양해지고, 자연히 시장 규모도 커지는 것이다.

주요 도시에서 서비스업이 모두 성장세지만 특히 상하이의 서비스 업종 강세가 두드러진다. 중국의 금융 허브로 꼽히는 덕으로 보인다.

최근 중국 상하이 기업연합회와 기업가협회가 '2022년 상하이 100대 서비스업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발표자료에 따르면 10위 순위 안에 든 기업은 다음과 같다.

 

1. 녹지공고집단고분유한회사[绿地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2. 중국원양해운집단유한회사[中国远洋海运集团有限公司]

3. 교통은행고분유한회사[交通银行股份有限公司]

4. 중국태평양보험(집단)고분유한회사[中国太平洋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5. 상하이만과기업유한회사[上海万科企业有限公司]

6. 상하이포동발전은행고분유한회사[上海浦东发展银行股份有限公司]

7. 태평인수보험유한회사[太平人寿保险有限公司]

8. 미단회사[美团公司]

9. 상하이균화집단유한회사[上海均和集团有限公司]

10. 상하이은행고분유한회사[上海银行股份有限公司]

 

1위 녹지공고집단고분유한회사는 1992년 설립된 기업으로 중국 개혁·개방 과정에서 탄생한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이다. 2000만 위안의 자본금으로 출발해 30년간 지속적인 성장을 거쳐 부동산, 인프라건설을 주요 사업 분야로 두고 있다. 한국 제주도에서도 녹지 병원을 추진했었다. 

2위 중국원양해운집단유한회사는 2016년 중국원양운수(집단)총기업과 중국해운(집단)총기업이 재편되면서 설립됐다. 올 상반기 기준 중국원양해운집단유한회사의 종합 수송력은 1억1347만 t/1413척으로 세계 1위 규모다.

3위에 오른 교통은행고분유한회사는 1987년에 설립되었다. 예금, 장단기 대출, 국내외 결산, 어음 수탁 등이 주업무이다. 

상하이는 금융업을 중심으로 서쪽의 '홍콩 금융허브'에 대응해 중국 동쪽의 '상하이 허브'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 중국 당국의 간섭이 늘면서 홍콩의 금융허브 역할이 조금씩 축소되는 상황이다. 자연스럽게 중국 내륙 금융허브인 상하이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