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5대 와인 브랜드, 1위 장성(长城)

 

와인의 대국은 이제 더 이상 프랑스가 아니다.

중국이다. 

중국의 와인 애호가들이 갈수록 늘고 있는 것은 물론, 중국산 와인이 세계 와인 애호가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최근 중국 닝샤후이족자치구에서 생산하는 와인이 국제 와인 컨테스트에서 잇달아 금메달을 수상하며 중국산 와인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중국은 이미 20세기 초부터 와인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세계 포도 재배면적 4위로 글로벌 10대 와인 생산국 반열에 올라 있다.

특히 닝샤 와인 산지인 하란산(賀蘭山, 영문명 Helan Mountain) 동쪽 지역은 긴 일조량, 회색토, 낮은 강수량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한 테루아(토질) 덕분에 '중국의 보르도'라 불린다. 현재 헤네시, 페르노 리카 등 국내외 와이너리 100여 개가 세계 최고 수준의 양조용 포도를 재배하고 와인을 제조하고 있다.

닝샤 와인은 2003년 중국 정부의 국가 지리 표시 산품으로 지정됐고, 2012년에는 중국 최초로 국제포도주협회(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Vine and Wine, OIV) 기준을 충족해 현재 세계 20여 개 국가에 수출되고 있다. 2016년 7월에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닝샤를 방문해 닝샤 와인의 우수성을 극찬한 바 있다.

중국산 와인 브랜드 인기 순위 Top 5를 살펴보았다.

 

1. 장성(长城)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 브랜드로 현재 세계 500대 기업에 속한다. 많은 제품이 최근 수년간 중국 내 판매량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 왕조(王朝)

1980년 설립된 합자 기업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와인 생산지를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생산능력이 굉장히 높은 브랜드이다.

 

3. 녕하홍(宁夏红)

중국에서 굉장히 높은 지명도를 지니고 있는 동시에 제품별 포지셔닝이 잘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을 위해 건강을 콘셉트로 한 구기자 와인을 생산한 바가 있다.

 

4. 용휘(龙徽)

1910년에 설립돼 11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브랜드이다. 레드와인 및 로제와인 등의 제품이 있으며 좋은 품질과 맛으로 소비자와 업계의 인정을 받고 있다.

 

5. 샹그릴라(香格里拉)

샹그릴라의 제품은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래서 맛도 좋지만 디자인을 추구하는 소비자가 샹그릴라의 와인을 선호한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