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캄보디아 해상 중국인 탑승 목선 침몰사고에 중 네티즌 "사고난 것이 오히려 다행"...도대체 왜?

 

 

"차라리 잘됐다."

중국 네티즌들이 해상 목선 침몰사고로 중국인 11명이 죽었는데도 이 같은 목소리를 냈다. 도대체 무슨 일이길래 중국 네티즌들은 이리도 무정한 것일까?

사실 중국은 전통적인 '전체주의' 국가다. 봉건시대의 잔재다. 수천년의 중국 문화는 민족을, 국민을 하나로 묶어내는 데 주력했다.

인민은 만인이고, 개인은 만인 중 하나에 불과하다. 그저 인민의 구성체일 뿐이다. 

중국 네티즌들의 매정한 듯 보이는 반응에도 이 같은 중국 전통의 전체주의 사고가 작용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여기에 중국 공산당은 애국이라는 이름으로 이 전체주의적 사고를 적극 육성하는 상황이다. 

최근 캄보디아 해역에서 목선 침몰사고가 발생했다. 선박에는 모두 41명의 중국인(여성 3명 포함)이 탑승하고 있었으며 그 중 30명은 구조되고 11명은 사망 및 실종됐다.

이번 침몰 사고와 관련하여 밀항 시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사건으로 중국인 5명은 중국으로 송환돼 조사를 받게될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네티즌은 아직도 밀입국하는 사람이 있는 것에 대해 놀라워하면서도, 왜 캄보디아로 밀입국하려 한건지 의문을 내비치고 있다. 또한 사고가 나지 않았으면 조국으로 못 돌아왔을 수도 있다며, 사고난 것이 오히려 다행이라고 의견을 내고 있다.

 

저장성, 푸젠성, 광저우에서 베트남이나 캄보디아로 밀입국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너무 막막합니다. 나라를 잘 지켜주세요.

 

지금도 밀입국이 있다고? 그것도 캄보디아로 간다고?

 

조국에 남아있으면 안 되나요? 자기 나라에 있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사고가 발생한 게 다행일 수도 있어요. 캄보디아에 가서 죽을지도 모르는 거잖아요.

 

잘 사는 나라도 아닌데 왜 거기로 밀입국하나요.

 

침몰 사고로 돌아올 수 있어서 오히려 다행이에요. 정말 캄보디아에 밀입국했다면 시체도 못 찾았을 수도 있어요!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