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40명 희생된 태국 유치원 총기 난사 참극에 中네티즌 "총기 소유 금지 필요"

 

미국에서나 일어난다고 생각했던 총기 사고가 태국에서 발생했다.

마약에 취한 전직 경찰관이 총기를 난사에 어린이를 포함한 40명이 목숨을 잃었다.

마약과 총, 두 가지 물건의 해악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총기도 마약도 한국에선 금지돼 있지만 조금씩 독버섯처럼 번지고 있다. 마약은 이미 한국 사회에서 금기가 아니다.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는 물건이 되고 있다. 

이번 참극이 태국에서 발생한 사건이지만, 남의 나라 일로 보기 힘든 이유다. 중국 네티즌들도 마찬가지다. 태국의 소식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시작은 지난 10월 6일이다. 태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전직 경찰관인 빤야 캄랍(34)이 태국 북동부 농부아람푸주 나끌랑 지역의 어린이집에 난입해 총을 쏘고 칼을 휘둘러 교사와 아이들을 살해했다.

캄랍은 마약 관련 혐의로 올해 초 해고돼 재판을 받는 중이었으며, 이날 범행도 마약에 취해 저지른 것으로 추정됐다.

그는 범행 후 집으로 돌아가 차랑에 불을 지르고 아내와 자식을 총으로 쏴 죽인 후 자살했다.

태국은 허가를 받으면 총기 소유가 가능한 나라로 이번 범행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최악의 총기 난사 사건으로 꼽힌다.

중국 네티즌은 총기 소유를 완전히 금지하지 않으면 비극적인 역사가 되풀이될 거라며, 이를 규제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사람이 하는 일은 하늘이 다 보고 있습니다. 나쁜 짓을 해도 도망갈 수 없어요.

 

분명히 이유가 있겠지.

 

미국을 보세요… 총기 소유를 금지하지 않으면 역사는 되풀이될 거예요.

 

총기 소유를 금지해야 합니다.

 

태국에는 사형이 없죠?

 

태국은 여행의 대국이잖아요. 분명 태국 관광업에 영향을 줄 텐데. 안전이 가장 중요해요.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