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중국 광둥성의 올 10월까지 수출 신장률이다. 중국 당국이 목표로 했던 성장률 5% 안팎에 비해 크게 못 미치는 성장이다. 물론 지역 총생산은 내수부분도 포함돼 수출 신장율만 가지고 이야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수출이 줄어도 내수가 늘고, 정부의 인프라 투자가 늘면 지역 부가가치 생산은 크게 증가한다. 다만 다른 곳도 아닌 수출의 지역총생산 기여도가 중국에서 높기로 유명한 광둥성이라는 점에서 미미한 수출 신장율이 주목되는 것이다. 13일 중국 세관총서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올해 1~10월 광둥성의 수출은 4.5조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성장했다. 실제 광둥성의 수출입 총액은 전년동기 대비 역성장을 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1~10월 광둥성 대외무역 수출입 총액은 6.81조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하락했다. 그 중 수출은 4.5조 위안으로 2.5% 성장했으며 수입은 2.31조 위안으로 5.4% 하락했다. 10월 광둥성의 수출입 총액은 7153.2억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 하락했다. 수출은 4587.9억 위안으로 8.2% 하락했고 수입은 2565.3억 위안으로 11.7% 성장했다. 일반 무역 및 보세 물류의 수
10일 제6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CIIE)가 막을 내렸다. 쑨청하이(孫成海) CIIE 부국장은 이날 오후 열린 폐막 언론 브리핑에서 "이번 CIIE 기업 비즈니스 전시회에 150여개 국가 및 지역의 3486개 기업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CIIE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포춘 500대 기업과 업계 선도기업 289개사가 참여해 442개의 신제품, 신기술, 신서비스가 집중 전시됐다. 특히 CIIE 혁신 인큐베이팅 전문구역에선 39개 국가(지역)의 300개가 넘는 혁신 프로젝트가 전시됐다. 또한 이번 CIIE에서 체결된 거래액은 784억1000만 달러로 이전 박람회 대비 6.7%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8년 이후 CIIE의 누적 체결 거래량도 3458억 달러에서 4242억 1000만 달러로 증가하여 CIIE는 다국적 기업들이 중국에서 기회를 공유할 수 있는 가장 빠른 통로로 자릴 잡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국은 전기차 시장에서 부동의 세계 1위 시장이다. 일론 머스크가 중국 당국에게 잘 보이기 위해 힘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중국은 본래 자동차 산업을 육성하면서 '강을 가로 지르는 방식'을 택했다. 덩샤오핑의 독특한 이론인 '선부론'을 근거로 나오는 이론이다. "강 저편에 부유가 있다. 그런데 이 둑을 따라 걷다가 다음에 다리를 만나서 건너면 늦는다. 지금부터 청사진을 만들고 다리를 놓아 건너도 늦는다. 방법은 하나다. 용기 있는 자들이 지금부터 강을 건너라. 적극 지원해준다. 강을 건너 성공해 부유해지면 다른 이들이 강을 건너도록 도와주라." 이런 단순한 이론이 선부론이다. 내연기관 기술을 발전시켜 세계 유수의 자동차 브랜드를 쫓으면 늦는다. 영원히 뒤처진다. 그래서 택한 게 강을 건너는 방식이었다. 신에너지차(순수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차) 상업화에 주력하라. 중국 전기차 기업 리오토가 2023년 3분기 재무 보고서를 10일 발표했다. 리오토의 3분기 매출은 346.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1.2% 증가했다. 차량 판매 수입은 336.2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271.6% 증가했으며 전월 대비 20.2% 증가했다. 경영 이윤은 23.4억 위안이고
'2023년 동방미곡 국제 화장품대회(2023东方美谷国际化妆品大会)'가 9일 중국 상하이에서 개막했다. 이날 대회 현장에서 발표된 '2023년 동방 미곡 청서'는 올해 중국의 화장품 시장이 급속한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화장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여 올해 상반기 화장품 산업은 전년 동기 대비 8.6%의 성장률을 달성했다. 지난 3분기 평균 성장률은 12%였으며, 연간 화장품 소매 판매 총액은 500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2023년 동방 미곡 청서'는 중국의 화장품 제조기술과 바이오 스킨케어에 대한 자본 투입이 많아지고 있으며, 허브 원료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신뢰도가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또한 많은 소비자들이 원료의 원산지 및 천연 유기농 성분 등 제품 정보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 화장품 소비자 10명 중 9명은 지속가능한 브랜드 활동을 펼치는 제품에 대해 구매 의사가 증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50조 2000억 위안' 한화로 약 9044조 원의 돈이다. 중국 당국이 산정한 지난 2022년 중국의 디지털 경제 규모다. 중국의 디지털 경제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사실 이미 중국 경제 부가가치 생산에서 디지털 경제는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되고 있다. 이에 중국에서는 이 같은 디지털 경제 부가가치를 국내총생산(GDP)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실 디지털 경제의 일부는 오프라인 기업부가가치로 산정돼 GDP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온라인 판매, 온라인 라이브 커머스 방송들이 만들어내는 부가가치의 많은 부분은 GDP 산정에서 빠지는 면이 적지 않다. 지난해 중국 디지털 경제 규모는 50조 2000억 위안(약 9044조 원)으로 중국 GDP의 41.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이 주최한 국무원 정례정책보고에서 쉔창위 국가지식재산권국장은 "데이터 지적재산권 보호 규칙의 4대 기본 원칙을 기반으로 데이터 보호의 핵심 문제들을 연구하고 정리했다"고 밝혔다. 쉔 국장에 따르면 베이징, 상하이, 장쑤성, 저장성, 푸젠성, 산둥성, 광둥성, 선전 등 8개 성 및 시에서 데이터 지적재산권 시범 작업이 진행됐으며 데이터 지적재산권
7일 중국 해관총서(세관)이 10월 수출 데이터를 발표했다. 중국의 10월 수출입 총액은 3조 5400억 위안(약 638조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0.9% 증가했다. 그 중 수출은 1조 9700억 위안으로 3.1% 감소했고, 수입은 1조 5700억 위안으로 6.4% 증가했으며, 무역흑자는 4054억 7000만 위안으로 27.9% 줄었다. 중국의 올해 1~10월 누적 수출입 총액(위안 기준)은 34조 3200억 위안(약 6187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03% 증가했다. 그 중 수출은 19조 5500억 위안으로 0.4% 증가했고, 수입은 14조 7700억 위안으로 0.5% 감소했으며, 무역흑자는 4조 7800억 위안으로 3.2% 증가했다. 국가 및 지역별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면 아세안은 중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였다. 올해 1~10월 중국과 아세안 간 무역 총액은 5조 23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했으며 중국 대외 무역 총액의 15.2%를 차지했다. 그 중 아세안 수출은 3조 위안으로 0.6% 증가했고, 수입은 2조 2300억 위안으로 1.3% 증가했으며, 무역흑자는 7696억 4000만 위안으로 1.6% 감소했다. 중국의 두 번째 무
중국의 자동차 산업이 갈수록 글로벌화하고 있다. 자동차 수출도 늘고 있지만, 그 기본이 되는 차량 부품 월간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두자릿수 증가세를 구현했다. 당장 지난 9월 차량 부품 수출은 10%이상, 완성차 수출은 90% 이상 증가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은 가성비다. 가격 대비 가장 좋은 제품이라는 것이 중국 자동차 산업 제품들의 최대 강점이다. 최근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지난 9월 중국의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0.9% 증가해 자동차 제품 수출 총액의 46.5%를 차지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중국 자동차 부품 누적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해 전체 자동차 제품 수출 총액의 48.5%를 차지했다. 전반적으로 1~9월 자동차 부품의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엔진 등 4대 자동차 부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유지했다. 완성차 수출은 9월에만 9만 6000대로 작년 동월 대비 92.8% 급증했고 전월 대비로는 6.5% 늘었다. 수출 금액으로는 전월 대비 13.4%, 전년 동월 대비 38.7% 증가했다. 9월 완성차 수출은 전월 대비 증가세를 보였고 완성차 수출량은 전월 대비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갔
중국 당국이 가장 힘쓰는 게 바로 산업고도화다. 소비재 산업을 석권한 중국은 IT부터 바이오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정부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미 반도체와 배터리 산업에서 중국의 발전 속도는 모두를 놀라게 하고 있다. 아직 이들 산업 수준은 아니지만, 역시 무섭게 발전하는 분야가 있다. 바로 바이오 산업 분야다. 중국은 기존 동양의학의 종주국으로서 자부심이 대단하다. 바이오 산업은 이 같은 종주국 자존심을 되살리는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직 중국 바이오 산업은 서구 글로벌 리더들을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다. 중국은 자동차 산업을 키웠듯 해외 글로벌 리더들의 중국 투자를 적극 유치하고 있다. 해외 역량을 빌어 자국 산업의 육성에 자극을 주겠다는 이화접목의 방법이다. 미국 제약사 모더나의 중국 연구개발(R&D) 및 생산 본부 착공식이 6일 개최됐다.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이날 상하이 민항구에서 열린 착공식에는 스테판 방셀 모더나그룹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상하이 시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모더나는 지난 5월 민항구에 '모더나 (중국) 바이오테크 유한회사' 법인을 등록한 후 7월에 상하이시 정부와 약 10억 달러(약 1조 310
올해 3분기 중국 맥주 업체들의 실적이 최근 발표됐다. 3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3분기 중국 맥주 시장은 전체적으로 맥주 가격은 오르고 판매량은 줄어드는 상황이 이어졌다. '버드와이저(Budweiser, 百威) 아시아태평양'은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해 업계 평균보다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1~3분기 중국 시장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칭다오맥주(青岛啤酒)는 최근 맥주 원료 보관소 소변 사건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3분기 판매량이 227만 1000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3% 감소했다. 3분기 총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 감소한 93억 7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옌징맥주(燕京啤酒),는 3분기 매출이 47억 9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했다. 순이익은 4억 4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4% 증가했다. 한편 중국음료협회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중국 맥주 산업의 생산량은 26.6% 감소했지만 고급 맥주 시장의 확대로 전체 매출은 11.4%, 영업이익은 117.2% 증가했다. 또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규모이상 맥주 업체의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1
스타벅스차이나가 2023회계년도 4분기(7월 3일~10월 1일) 및 연간 재무 보고서를 2일 발표했다. 스타벅스의 중국 시장 4분기 매출은 총 8억 406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 성장했으며, 신규 오픈 매장 수는 326개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2023회계년도 연간 매출은 30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으며, 매장 수는 6806개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 4분기 스타벅스 리워드 클럽 회원의 활동(지난 90일내 구매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2100만 건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장 주문, 배달, 전자상거래 및 기타 채널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랙스먼 내러시먼 스타벅스 최고경영자(CEO)는 "4분기 중국 시장 실적이 예상치에 부합해 만족하고 있으며 하반기 수입은 상반기 대비 20% 증가했다"고 밝혔다. 한편 스타벅스는 지난 9월 장쑤성 쿤산에 총 15억 위안을 투자해 '스타벅스차이나 커피 혁신 산업단지'를 완공해 생산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