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중국 광둥성과 장쑤성의 상반기 GDP총액이 7조 위안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31개 성 가운데 상반기 GDP ‘6조 위안 클럽’에 든 성은 이들 둘이 유일했다. 두 성에 이어 산둥성이 상반기 GDP총액 위로 5조 46억 위안(약 1,056조 8,922억 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1,2위와 3위의 격차가 1조 위안 이상 벌어진 것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각 성별 GDP 실적을 발표했다. 앞서 발표된 중국의 상반기 GDP 총액은 66조 536억 위안(약 1경 2,785조 원)이었다. 자료에 따르면 광둥성과 장쑤성은 모두 6조 6000억 위안(약 1,277조 5,620억 원)을 넘어섰으며, 광둥성이 6조 8725억 4000만 위안(약 1,330조 3,175억 원)으로 전국 1위, 장쑤성이 6조 6967억 8000만 위안(약 1,296조 2,957억 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산둥성은 3위로 5조 46억 위안(약 1,056조 8,922억 원), 저장성은 4위로 4조 5004억 위안(약 871조 1,424억 원)을 기록했다. 쓰촨성과 허난성은 각각 3조 1918억 2000만 위안(약 617조 8,40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구이저우 룽장의 ‘촌(村) 슈퍼리그’ 경기장에서 환호성이 계곡을 뒤흔들고, ‘쑤퍼리그’가 도심의 열기를 달군다. 우한 마라톤 참가자들이 창장대교를 가로지르며 도시의 숨결을 느낀다. 이 장면들마다 숨어 있어 싹 트고 있는 경제 생태계가 있다. 중국 당국이 주목하는 또 하나의 경제 생태계다. 바로 ‘스포츠 경기 경제’다. 중국 매체들은 들불처럼 전국을 휩쓸며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새로운 엔진으로 떠올랐다고 전하고 있다.. ‘스포츠 경기 경제’는 간단히 말해 스포츠 경기를 개최함으로써 관련 산업 전반의 발전을 견인하는 경제 형태를 뜻한다. 중국 매체들에 전하는 제5차 전국 경제 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스포츠 산업의 총 규모는 약 3.7조 위안(약 713조 4,710억 원)에 달했다. 같은 해 발표된 산업 총규모 및 부가가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스포츠 경기 공연 활동 생산액은 752억 위안(약 14조 5,008억 원)으로, 2022년의 388억 위안(약 7조 4,818억 원)과 비교해 93.81% 증가했다. 이처럼 스포츠 경기를 핵심으로 하는 경제 구조는 수천만 명의 참가자를 끌어들여 도시의 관광, 외식, 숙박, 교통 등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며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3조 8,872억 위안’ 한화로 약 750조 1,907억 원 가량이다. 올 상반기 중국의 서비스 무역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8% 성장한 수치다. 중국 경제가 기존 제조 화물 수출에서 서비스 수출이라는 새로운 동력을 갖추고 있다고 중국 매체들은 평가했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비스 무역수지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의 서비스 무역 총액은 3조 8,872억 위안, 전년동기 대비 8% 늘었다. 그중 지식집약형 서비스 무역은 6%의 성장률로 지속적으로 선도했다. 상반기 지식집약형 서비스 수출입 총액은 1조 5,025억 위안(약 289조 9,674억 원)으로 서비스 무역 총액의 38.7%를 차지했으며, 그중 통신·컴퓨터 및 정보 서비스와 기타 상업 서비스가 각각 12.7%, 3.1%의 성장률로 세부 분야에서 선두를 달렸다. 이러한 성장은 생산성 서비스 산업이 ‘노동집약형’에서 ‘기술집약형’으로 심층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중국 매체들은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 최첨단 기술의 돌파가 글로벌 협력 모델을 재편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이미 세계 서비스 무역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되었다.”고 분
‘1조 802억 위안’ 한화로 약 208조 4,677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상반기 여행 서비스 수출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2%이상 급증한 것이다. 중국 당국의 무비자 정책에 힘입어 중국 여행수지가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대륙의 유동인구를 더 늘려 내수를 늘리자’는 중국 당국의 묘수로 꼽히고 있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여행 서비스 무역수지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상반기 여행 서비스는 빠른 성장을 이어가며 수출입 총액 1조 802억 위안(약 208조 4,677억 원)을 기록했고,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3% 늘어난 수치다. 그중 수출은 68.7% 증가했고, 수입은 5.5%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여행 서비스가 전체 서비스 무역 최대 분야로 부상했다”며 “이 데이터는 중국 소비 시장이 ‘상품 소비’에서 ‘체험 소비’로, ‘내수 중심’에서 ‘글로벌 매력’으로 구조적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상무부 국제무역경제협력연구원 부연구원 송쓰위안(宋思源)은 여행 서비스 무역의 두드러진 성과는 관련 정책 혜택의 지속적 방출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다수 국가에 대한 일방적 무비자 조치,
지속적인 거시경제 정책을 고수하되, 과열 경쟁 등으로 인한 시장 발전 저해 요소는 바로 잡는다. 중국의 올 하반기 경제 운영 방향이다. 중국 당국이 올 상반기 경제정책의 성과에 대단히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중국의 최고 의결기구인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논의된 결론이다. 자연히 상반기 진행된 재정정책과 통화 완화정책은 더욱 강화돼 실시될 전망이다. 문제점으로 지적된 분야가 과당경쟁이다. 이번 회의에서 당 지도부는 어떤 점을 높이 평가했고, 무엇을 불안 요인으로 봤는지를 알면 중국 당국의 하반기 경제 운영의 핵심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단 중국 지도부는 올 상반기 성장세를 “발전의 ‘함량’이 끊임없이 높아졌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주목할 점이 ‘발전의 함량’이라는 표현이다. 단순히 현재만 좋은 게 아니고, 표면적으로만 좋은 게 아니라는 의미다. 내적 발전 역량을 구축했다는 의미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경제상황을 “지난해와는 달랐다”는 말로 그 어려움을 대신해 표현한다. 지난 2024년 1분기에는 ‘좋은 출발’을 이뤘지만 2분기와 3분기에는 경제성장률이 각각 4.7%와 4.6%로 급격히 하락해 정책의 대대적
학생 기숙사는 다 쓰러져 가는데, 교문은 휘황찬란? 중국 한 학교가 열악한 환경의 기숙사 수리를 뒷전으로 미루고 120만 위안, 한화로 약 2억3167만 원을 들여 교문을 수리해 네티즌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후난성 헝양시 치둥현의 육현중학교 정문 개선 공사가 여론의 의심을 불러일으켰다. 일부 누리꾼은 해당 학교의 학생 기숙사 환경이 열악한 데도 학교 측이 정문 공사에만 집중하고 기숙사는 방치하고 있다며, 체면만 중시하는 '외형 치장 공사'가 아니냐는 비판을 제기했다. 교문 보수에 투입된 120만 위안이라는 예산도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대해 학교 측이 왜 교문 개보수 공사를 추진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치둥현 교육국 공식 계정은 “학교 정문이 안전성 부족, 외관 노후, 통행 불편 등의 문제를 안고 있어 개조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설명만 놓고 보면, 학교 측의 조치가 전혀 설득력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학생 학부모가 SNS에 올린 영상에는 해당 학교의 기숙사 대부분이 8~10인실로 공간이 매우 비좁아 학생들의 캐리어가 침대 옆에 세워 둘 수밖에 없는 모습이 담겼고, 기숙사 내부의 화장실과 세면대, 세
‘8조 400억 위안’ 한화로 약 1,555조 5,792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상반기 전자정보 제조업의 영업수입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0% 가까이 성장한 수치다. 중국의 전자정보 제조업은 보안 문제로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각국의 견제를 받는 업종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일궈낸 성과여서 주목된다. 차이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의 전자정보 제조업의 영업수입은 8조 400억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비용은 7조 200억 위안(약 1,358조 2,296억 원)으로 9.6% 늘었다. 에 총이익은 3,024억 위안(약 58조 5,083억 원)으로 3.5%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3.76%로 1~5월에 비해 0.4%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국가통계국 자료 기준 2025년 상반기 우리나라 규모 이상 전자정보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동기간 산업 전체 및 첨단기술 제조업의 증가율을 상회했다”며 “고 기술 산업이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제조 종목별로 보면, 휴대전화 생산량은 7억 70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했다. 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