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인공지능(AI) 기업 센스타임(상탕커지<商湯科技>)이 30일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한다. 29일 중국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센스타임 공모가는 희망밴드 하단인 3.85홍콩달러(약 585원)로 확정됐다. 센스타임은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총 15억 주를 새로 발행해 57억7500만 홍콩달러(약 8800억 원)의 자금을 확보한다. 시장 가치는 160억 달러(약 19조 원)로 추정된다. 2014년 매사추세츠공대(MIT) 박사 출신 탕샤오어우(湯曉鷗) 홍콩중문대학 정보기술 교수 등이 설립한 센스타임은 안면 인식, 영상 분석, 자율주행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 정상급의 AI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미국 정부는 인권 침해를 이유로 센스타임을 제재 대상에 올려놓고 있다. 2019년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정부의 신장 내 소수민족 탄압에 센스타임의 얼굴 인식 기술 등이 활용됐다며 미국 기업들이 센스타임과 거래할 수 없도록 하는 제재를 부과했다. 또 바이든 정부도 지난 10일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내 인권 유린과 관련된 투자 제한 블랙리스트에 센스타임을 올려 상장 절차가 일시 중단된 바 있다. 미국의 제재로 미국 자본의 투자가
내년부터 외국 자본이 중국에서 승용차 생산 공장을 설립할 때 중국 기업과 합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동안 중국에 진출한 모든 자동차 제조사, 예컨대 현대차 등은 중국 기업과 1대1의 합작사를 세워야 했다. 현대차는 베이징자동차와 합작해 중국 현대차 법인을 만들었다. 환구시보, 펑파이(澎湃)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내년부터 중국 승용차 제조 부문에서 외국인 투자 지분을 제한하지 않기로 한 '2021년 외상투자 진입 특별관리 조치'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 자동차 업체의 성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11월 기준 중국 내 주요 합작기업의 자동차 판매량은 78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3% 급감했지만, 중국 자국 브랜드 판매량은 83만 대로 2% 증가했다. 중국은 자국 자동차 산업 초창기인 1994년 ‘자동차 공업 산업 정책’을 발표하면서 완성차 제조 기업의 경우 외국인 지분이 50%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했었다. 이후 시장 개방 압력이 강해지면서 2018년 전기차 등 친환경차 지분 제한을 폐지했고, 2020년에는 상용차 지분 제한을 폐지했다. 중국은 현재 희토류, 담배, 영화 제작 및 유통 등 31개 부문에
'제23회 중국 하이테크 페어(CHTF)'가 27일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에서 막을 올렸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연기된 지 한 달만의 일이다. 이번 CHTF에서는 IT, 바이오, 신에너지, 신소재 등과 관련된 전시 부스가 마련됐다. CHTF의 전시 면적은 15만7000㎡ 이상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고 새로운 발전 모델을 구축하자'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CHTF에서는 ▲스마트 제조 ▲메타버스▲탄소중립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제품과 기술이 선보였다. 오프라인(29일까지)과 가상공간(31일까지) 전시회로 구성된 이번 CHTF에는 26개 국가, 13개 국제기구가 참여했다.
중국 전역의 5G 기지국 수가 130만 개를 넘어서면서 관련 이용자도 급증하고 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최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개통된 5G 기지국은 약 130만개, 5G 이용자는 4억9700만명에 달했다. 중국 정부는 5G 단말기의 보급과 기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5G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도시에서 농촌 지역까지 확대됐으며 올해 5G 스마트폰 출하량도 2억50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5G 스마트폰의 시장 점유율은 이미 전체의 75%를 돌파했다. 중국에서 5G는 디지털 경제와 실물 경제의 끊임없는 융합을 추진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중국 정보통신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중국 5G발전 및 경제사회영향 백서’에 따르면 2021년 5G가 가져온 직접적인 경제효과는 1조3000억 위안(약 242조 원), 간접적 경제효과는 3조3800억 위안(약 629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 수치 모두 전년 대비 30%이상 증가했다. 이미 세계 최대 5G 기반을 구축한 중국은 2025년까지 5G 기술을 활성화시켜 산업의 디지털화 수준을 대폭 끌어올릴 계획이다. 특히 5G 응용 발전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면서 네트워크 커버
중국이 돌연 희토류 생산을 5배 늘리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중국은 세계 희토류 생산의 90% 이상을 차지하지만, 생산과정에서 오염 등을 이유로 생산량을 일정 수준 유지해왔다. 희토류는 첨단 제품 생산에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중국이 이처럼 희토류 생산을 늘리는 것은 첨단 자재분야 산업을 키워 미국의 공급망 재편계획에 맞서려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중국 네이멍구(內蒙古) 바오터우(包頭)는 '중국 희토류의 수도'로 불린다. 희토류 매장량이 풍부하고 채굴 시설이 밀집돼 있다. 바옌 오보 광산의 경우 중국 희토류 매장량의 약 84%, 세계 희토류 매장량의 약 38%를 차지한다. 네이멍구 공업정보화부가 희토류 생산 규모를 2025년까지 지난해 금액 기준 5배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네이멍구 당국은 2025년까지 바오터우의 희토류 생산가치를 1000억 위안(약 18조5900억원)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연간 최소 30%씩 생산가치를 신장시켜야한다. SCMP는 네이멍구 당국이 희토류 산업망의 통합을 추진하는 한편 신에너지 차량과 풍력 발전기에 사용되는 희토류 영구자석에 초점을
중국이 양자(量子) 과학기술 육성을 위해 전방위적인 노력을 쏟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30일 중국 정부가 안후이(安徽)성 허페이(合肥)시에 위치한 중국과학기술대학교(USTC)의 양자 과학기술 박사 과정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과학기술 분야 명문대학인 USTC는 1990년대 초부터 양자 정보과학 분야 연구를 진행해왔다. USTC는 성명을 통해 “이번 양자 과학기술 박사 과정 개설로 인재 양성과 정부의 정책 목표 달성이 촉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의 양자 과학기술 박사 과정 승인에는 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공산당 지도부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은 2015년 발표한 제13차 5개년 경제개발 계획(2016~2020년)에 양자통신체계 구축과 활용에 관한 연구를 포함시켰다. 이후 2016년 세계 최초로 양자 위성통신인 '묵자(墨子)호'를 창정2D 로켓에 실어 발사하고,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를 잇는 세계 최장 2천㎞ 구간의 육상 양자 암호 통신망을 구축했다. 지난 10월에는 66큐비트(양자 비트)의 초전도 양자 컴퓨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시진핑(習近平) 주석은 지난해 10월 중국 공산당
카지노는 마카오 경제를 떠받드는 중추 산업이다. 샌즈차이나, 윈마카오 등 6개 카지노 운영업체가 마카오 세수의 약 80%를 책임지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가 마카오 경제의 카지노 의존도를 낮추고 산업 다각화를 유도하면서 마카오 카지노 업계가 휘청거리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30일 마카오 최대 정킷(VIP 고객 유치 사업) 운영사인 선시티(태양성)그룹의 주가가 장중 55% 추락해 0.11홍콩달러까지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선시티그룹 주식은 앞서 27일 앨빈 차우(중국명 저우차오화<周焯華>) 최고경영자(CEO)가 불법 온라인 도박 활동과 돈세탁 혐의로 체포되면서 29일 하루 거래가 정지됐었다. 중국 경찰은 차우가 설립한 도박 네트워크를 이용한 본토 고객이 8만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차우의 체포로 카지노 산업에 대한 규제 강화 우려가 커지면서 홍콩 증시에서 최근 이틀간 마카오 카지노업계 시가총액은 약 48억 달러(약 5조7000억원) 감소했다. 지난 9월 마카오특별행정구 정부의 도박산업 개혁안 발표 당시에는 약 170억 달러의 시가총액이 급감한 바 있다.
중국에서 잘 나가는 테슬라가 상하이 공장 증산을 추진한다. 공급을 더욱 늘리겠다는 의미다. 현재 45만대가 생산되는 공장에서 추가로 5만대가 생산될 전망이다.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는 첫 해외 생산기지이자 중국 내 유일한 생산시설을 상하이에 운영하고 있다. 29일 경제 매체 차이신(財新)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테슬라 생산라인 개선 프로젝트에 관한 환경영향평가 보고서를 공개했다. 기존 테슬라 상하이 공장은 연간 최대 50만 대까지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돼 2020년부터 모델3, 모델Y 차종을 만들어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모델 교체 없이 기존 모델을 증산하게 된다. 보고서에서 테슬라는 생산시설 최적화, 대규모 인력 추가 투입 등의 방식으로 상하이 공장 증산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는 테슬라가 올해 12월부터 내년 4월까지 부품 창고 시설과 생산 라인 투입 전 작업 준비 구역 시설을 새로 만들어 생산 속도를 높이는 내용이 담겨 있다. 증설되는 두 공간에는 총 4000명의 근로자가 추가 배치된다. 현재에는 1만5000여명이 근무 중이다. 테슬라는 미중 갈등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3분기 테슬라의 중국 지역 매출은
현재 중국의 전자결제 시장은 위챗페이(웨이신즈푸·微信支付)와 알리페이(즈푸바오·支付寶)가 양분하고 있다. 위챗페이는 텐센트의 핀테크(금융기술) 계열사인 차이푸퉁(財付通)이, 알리페이는 알리바바 계열 핀테크 계열사인 앤트그룹이 각각 운영한다. 29일 중국증권보에 따르면 중국 국가외환관리국 선전시 분국은 차이푸퉁이 외환관리 업무 규정을 위반했다며 개선 명령과 함께 벌금 278만 위안(약 5억원)을 부과했다. 이번 차이푸퉁 제재는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최근 텐센트의 모든 앱 업데이트와 신규 앱 출시를 잠정 중단시킨 데 이어 나왔다. 중국 안팎에선 중국 정부가 향후 법정 디지털 화폐인 ‘디지털 위안화’를 보급해 텐센트와 알리바바가 장악한 전자결제 시장 주도권을 약화시키고 국가 통제권을 강화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馬雲)의 정부 공개 비판 직후부터 반독점, 금융 안정, 소비자 정보 보호 등 여러 명분을 앞세워 빅테크 기업들을 겨냥한 규제 정책을 펼쳐왔다. 차이푸퉁은 텐센트가 95% 지분을 보유한 비상장사로 이번에 문제가 된 사안들은 2019∼2020년 정기조사 당시 발견된 것으로 이미 모두 해결한 상태라고 밝혔다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小米)가 전기차 사업 진출을 본격화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8일 샤오미와 베이징시 경제개발구가 전기차 공장 프로젝트 건설 협력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합의서에 따르면 샤오미는 베이징 동남부 외곽 지역인 이좡(亦庄)에 전기차 공장을 짓고 2024년부터는 양산에 들어가 향후 최대 연 3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하게 된다. 스마트폰이 주력 사업인 샤오미가 전기차 사업 진출을 선언한 것은 지난 3월이다. 레이쥔(雷軍) 샤오미 창업자 겸 회장이 전기차 신설 법인을 설립해 10년간 1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 9월에는 100억 위안(약 1조8000억원)의 자본금으로 전기차 자회사인 샤오미 자동차를 설립했다. 바이두, 화웨이, 텐센트 등 중국의 다른 빅테크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급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발빠른 대응이었다. 샤오미는 올해 기준으로 애플, 삼성전자에 이어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3~4위를 오르내린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높은 제품으로 특히 인도 시장에서 인기가 높다. 중국 업체로는 유일하게 한국 스마트폰 시장 진입에도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