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지난해 발명 특허 69만6000건 승인

 

특허권은 상표권, 저작권 등과 함께 지적재산권을 대표한다. 일반적으로 자국의 특허권이 얼마나 많으냐에 따라 지적재산권 수출국이냐 수입국이냐가 정해진다.

중국의 지난해 발명 특허 승인 건수가 전년 대비 30% 증가해 70만 건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 발표를 인용해 지난해 중국의 발명 특허 승인이 69만6000건에 달했다고 26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은 특허협력조약(PCT)을 통해 6만9000여 건의 국제 특허도 출원했다. 이는 미국, 일본 등을 앞선 수치로 3년 연속 세계 최대 규모다.

중국은 미중 갈등 속에서 지난 5년간 약 253만 건의 발명 특허를 승인하며 지적재산권 강국으로 탈바꿈했다.

특허 승인 건수가 급증하면서 지적재산권 사용의 효율 또한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2020년 기준 특허 집약산업의 부가가치가 12조1300억 위안(약 2300조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12%에 달했다.

지난해 9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은 2025년까지 GDP 대비 특허 집약산업의 비율을 13%로 끌어올리고, 2035년까지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지적재산권 강국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중국은 세계 지적재산권기구(WIPO) 글로벌혁신지수 부문도 2017년 22위에서 지난해에는 12위로 뛰어올랐다. 특히 산업 디자인의 국제 등록을 위한 헤이그 시스템에도 가입해 다음 달 5일부터 외국인의 중국 내 디자인권 확보가 가능해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