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으로 중국이 피해를 본 것이 맞을까? 대부분은 미국의 경제가 성장세고, 중국은 하락세라 중국이 큰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는 보고 있다. 하지만 미국 싱크탱크는 중국의 피해가 과장됐다고 반박하고 있다. 여전히 중국은 6%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세계의 공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무역전쟁에서 미국이나 중국 모두 피해가 미미한 것이 사실이라면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 귀추가 주목된다 무역전쟁이 중국에 영향을 미쳐, 중국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는 소식이 있었다. 하지만 미국 싱크탱크는 이런 평가는 무역전이 중국경제에 가져다준 부정 영향을 과장했다고 보고 있다. 중국대륙 언론 중신사 21일 ‘2019 이노베이션 경제포럼에 참석한 외국인 게스트 중 상당수가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고 ‘이들은 중국 경제가 미래에 계속 전 세계 경제성장의 최대 공헌자이며, 가장 핫한 투자지이고 혁신의 선도자로 여긴다’고 보도했다. 무역 마찰이 중국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보다 커지 않다는 주장이다.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의 니얼 퍼거슨(Niall Ferguson) 선임연구원은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이 미중 무
말레이시아가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한 중국인 680명을 체포하고 달아난 120명을 추적하는 등 중국 보이스피싱 조직을 파괴했다. 말레이시아의 보이스피싱과의 전쟁이 주변 동남아시아 국가로 확대될지 주목된다. 말레이시아 이민국은 시보르자야(Cyberjaya)의 한 건물을 한달동안 감사한 끝에 보이스피싱에 가담한 남자 60명과 여자 77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민국은 건물에서 8000여대의 핸드폰과 컴퓨터 1000대를 압수했다. 용의자 연령대는 19~35세다. 이민국은 달아난 120명을 쫓고 있다. 이민국은 이들이 중국민이며, 취업비자로 입국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경찰은 이 보이스피싱 조직이 말레이시아에서 6개월 동안 중국인을 대상으로 활동했다. 이들은 빠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위챗페이나 중국 은행으로 거래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 용의자들은 14일 구속 수감돼 만기연장 및 무효비자 입국 등의 혐의를 받게 된다.
미중 양국이 한치의 양보없이 무역전쟁을 끌고 있지만 결국 중국이 협상에서 양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경제는 견고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지만 중국은 하락세라 협상을 타결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은 내년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하면 자국이 무역협상에서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미국 대통령이 바뀐다고 해서 현재와 같이 완고한 미국의 태도가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더욱 곤혹스런 처지가 됐다. 미국과 중국이 지난 10월 첫 단계 무역협정을 채결하고 나서 현재까지 양측 협의의 실질적인 진전이 아직 보이지 않다. 이에 대해 일본 노무라증권은 “미국에 비해, 중국이 무역전에서 더 많은 경제 손해를 보고 있다”며 “결국에 중국이 무역협상에서 양보하고 항복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만 언론(Anue鉅亨)은 21일에 노무라종합연구소(Nomura Research Institute)의 리처드 구(Richard Koo) 수석 경제학자의 보고를 인용해 ‘중국의 경제의 하향 추세가 뚜렷하게 보인다”며 “더구나 미국 최근 취업 데이터가 강세를 보여, 미국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중국에게 커다란 타격을 줄 것’이라
중국 정부가 반도체 사업에 중점을 두면서 관련 업체들이 선정하고 있다. 중국 반도체 생산은 내년 세계 시장 점유율을 5%를 차지하면서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하지만 자국 산업 밀어주기가 심화할 경우 오히려 중국 반도체 산업에 위기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일본 매체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국내 반도체산업 자동화를 발전시켜 2020년 말 전에 중국 웨이퍼 생산은 제로 수준에서 전 세계 생산비중 5%에 이를 전망이다. 21일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에 베이징 정부는 인공지능을 국내 발전 전략 중심으로 두고 지금까지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다. 관변은 2019년 7월 적체회로산업투자기금 2기의 자금조달을 완료한 약 2000억위안(약 1위안약 0.14달러) 규모를 중국 반도체 산업에 투입했다. 현재 미중무역 사태가 지속되면서 웨이퍼 자동화 계획이 더 긴박하게 됐다. 현재 전 세계 낸드플래시와 D램 웨이퍼 월 생산 능력은 모두 130만개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도시바 등 한미일 제조사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중국이 웨이퍼를 소규모로 생산하고 있지만 품질이 상승하면서 내년 생산능력이 지속적으로 확대 될 전망이다. 중국 자광그룹(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21일 오전 8시50분쯤 태국 북부와 라오스 비엔티안 북서쪽 210㎞에서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정확한 피해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현지 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인접한 북부 치앙마이주에서는 흔들림이 상당 시간 감지됐다. 지진은 또 난주에서 수백 ㎞ 떨어진 수도 방콕에서도 감지됐다. 고층 빌딩이 약 30초간 흔들리면서 주민들이 놀랐다고 언론들은 전했다. 태국 내 한인들도 카톡 정보방 등을 통해 지진 발생 소식을 공유하면서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일부 콘도에서는 고층에 사는 주민들이 대피하는 소동도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지진대망 공식 측정 정보에 따르면 11월 21일 오전 7시50분 라오스(북위 19.50도, 동경 101.35도)에서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해 진원 깊이가 1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서쌍판납(西双版纳) 주민들은 “아침에 침대에 누워 있었는데 흔들렸을 정도로 진감(震撼)이 뚜렸했다”고 말했다.
이르면 다음 달부터 자율주행차가 서울 강남 도로를 달릴 계획이다. 21일 서울시는 현대자동차와 '자율주행 모빌리티 플랫폼 도시 육성을 위한 제휴·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서울시는 내달부터 자율주행 기술 개발과 실증을 위한 도로 인프라를 구축한다. 구체적으로 강남대로·테헤란로·언주로 등 강남 지역 23개 주요 도로에 있는 노후 신호제어기 70여개를 교체하고, 교차로 104곳에는 자율주행차와 교통 정보를 주고받는 신호 옵션 보드를 설치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도로 인프라가 개선되면, 자율주행차가 5G 통신망을 통해 24시간 내내 0.1초 단위로 신호등 색상과 변경 시간 등 각종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실증을 원하는 모든 기업과 학교 등에 도로 인프라를 개방해, 도심 자율주행 기술개발과 실증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자동차도 이르면 12월부터 자체 개발한 수소전기 자율주행차 6대를 시작으로, 2021년 1월까지 최대 15대를 강남 도로에 투입해 자율주행 기술을 검증한다. 뿐만 아니라 서울시와 함께 강남을 비롯해 여의도, 상암에서 노인과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실어나르는 '도심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시범
21일 코트라는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에서 최근 발간한 '2020년 주목할 5가지 기술 트렌드(5 Technology Trends to Watch 2020)' 보고서를 인용해, 내년 CES(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서 기존 시장의 패러다임을 뒤흔드는 5개 기술이 글로벌 IT업계와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CTA가 예고한 '5대 IT 트렌드'는 디지털 치료(Digital therapeutics), 차세대 교통수단(Flying Cars), 식품의 미래(The Future of Food), 안면인식 기술(Facial Recognition), 로봇의 발전(Robots) 등이다. ‘디지털 치료’는 기존의 '디지털 헬스케어'에서 더 발전한 것으로,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관리·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직접적인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내년 CES에서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을 통해, 가상의 공간에서 이뤄지는 디지털 치료법과 가벼운 진동으로 뇌를 진동시켜 두통과 복통을 완화하는 웨어러블 기기 등이 화제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차세대 교통수단’으로는 헬리콥터와 드론의
금융위원회가 보이스피싱을 방지하기 위해 유관기관 간 사기 정보 공유 체계 구축을 시작한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최근 국가종합전자조달 시스템인 '나라장터'에서,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방지를 위한 데이터 활용 체계 구축방안 연구용역 입찰에 나섰다. 해외에서는 금융회사, 일반상거래 기업 등이 참여하는 민간 중심의 정보 공유 체계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일반상거래 부문의 사기 정보 공유가 되지 않고 있다. 금융사기 방지를 위한 데이터 활용 체계도 미흡하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전거래 같은 일반 신용정보와는 달리, 보이스피싱 정보는 신고 접수된 전화번호 외에는 체계적으로 공유되지 않고 있다"며 "연구 결과에 따라 신용정보원, 금융보안원 등 유관기관과 보이스피싱 정보를 공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위는 금융 사기 예방을 위한 해외 주요국의 데이터 활용 체계를 살피고, 국내에 도입할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또한 민간 정보 공유 체계 구축, 금융사기 방지 산업 도입 등 민간 중심의 금융사기 방지 체계 활성화 방안도 찾는다. 금융위는 일반상거래를 포함한 전체 사기 정보를 미리 공유하면, 보이스피싱 예방 가능성도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오는 2021년부터 중국의 대출 금리를 올리겠다고 밝혔다. 중국이 경제적을 성장한 만큼 그 부담을 져야한다는 논리다. 일본경제신문은 20일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는 아시아개발은행인 오는 2021년부터 중국 등 ‘중고수입국가’의 대출 금리를 0.2%부터 0.3%사이에서 올릴 것"이며, "세계은행도 비슷한 결정을 내렸고, 그들은 중국은 전 세계 제2위 경제체로 수입 수준이 이전보다 높아, 그만큼 부담은 져야한다"고 보도했다. ADB는 이에 앞서 오염 관리 등에서 중국 자금 대출을 해 주었다. 새로운 금리 시스템은 2021년 1월부터 실행된다. 국민평균수입 6975달러는 각국 수입수준을 고려한 중요한 지표이고, 중국은 2018년에 국민평균수입이 이미 9000달러를 넘었다. 일본경제신문은 “중국은 아시아기초건설투자은행(AIIB)를 통해 신흥 국가 시장의 대출을 확장하는 가운데, 자금 제공자로서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에서 존재감을 높이는 것도 이번 아시아개발 은행가 금리인상한 원인일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아시아개발은행이 2018년 중국과 체결한 대출 규모는 총 26억달러로 과거보다 줄었지만 규모면에서 1위인 인도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알리바바의 상장으로 홍콩거래소가 활짝 웃고 있다. 알리바바 주가는 공모보다 높은 가격에 상장 예정이며, 거래소는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고 밝혀 투심을 자극하고 있다. 홍콩거래소는 20일 "알리바바가 오는 26일에 상장할 때, 알리바바의 관련된 파생권증도 같이 출시해 투자자에게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리바바는 상장 직후 공매도 가능한 지정 증권 리스트에 올라간다. 알리바바는 홍콩에서 주당 176홍콩달러(1홍콩달러는 약 0.128달러)의 최종 가격으로 상장될 예정이다. 알리바바 개인투자의 청약은 20일 오전 139.23억 홍콩달러로 마감됐다. 나스닥 밥 맥코이(Bob McCooey) 선임부회장이며 아태지역 의장은 알리바바의 홍콩 상장이 미국 주식시장을 분할할 것인지에 대해 "아직은 확신할 수 없지만 홍콩 상장 후 두 곳(홍콩과 중국내지)의 주가는 기대만 한다"고 말했다. 맥코이 의장은 알리바바의 홍콩 상장이 미국 주식시장에 충격을 주는 것에 대해 응답하지 않았지만, 그는 공식적으로 “알리바바는 특별한 케이스”라며 “모든 기업이 5000억달러의 시장을 갖고 있는 것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부 증시 전문가들은 알리바바의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