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日依山尽, 黄河入海流 bái rì yī shān jìn, huáng hé rù hǎi liú 欲穷千里目, 更上一层楼 yù qióng qiān lǐ mù, gèng shàng yī céng lóu 해는 서산으로 지고, 강은 바다로 흐르지. 천 리를 더 보고픈가, 그럼 한 층 더 오르라. 참으로 결연하다. 또박 또박 단순한 천리(天理)를 이야기한다. 이 땅이 생긴 이래 한 번도 바뀌지 않은 진리다. '하늘의 해는 동에서 떠 서쪽으로 지고, 강은 …' 도대체 무슨 이야기 하려고 이러나 싶을 때 던진 마지막 말이 압권이다. "더 보고 싶어? 더 듣고 싶어?" 그럼 말해주지. “한 층 더 올라가면 돼.” 참, 할 말이 없다. 중국 당나라 중기 너무도 유명한 왕지환(王之涣, 688~742)의 시 '등관작루'(登鹳雀楼)다. 왕지환은 왕창령, 고적 등과 어울린 변색파 시인이다. 그는 단 여섯 수의 시를 남겼는데, 그중 이 등관작루는 다른 이의 시 수백 수보다 낫다. 남아의 호방함이 넘치고 기백이 있어 많이 인용된다. 중국인은 물론 중국어를 배운 이라면 누구나 한 번 접하게 되는 시다. 관작루는 산시성 영제시에 실제 있는 누각이다. 시어와 문장이 너무 단순해 누구라도 이해
迟迟白日晚 chí chí bái rì wǎn 袅袅秋风生 niǎo niǎo qiū fēng shēng 岁华尽摇落 suì huá jìn yáo luò 芳意竟何成 fāng yì jìng hé chéng 뉘엿뉘엿 하루 해 지면, 솔솔 가을바람 불고, 낙옆따라 한 해도 가네. 아 꽃은 언제나 피려나? “츠츠”, “뇨뇨” 둘 모두 귀를 확 당긴다. 소리도 재미있지만, 뜻은 더 재미있다. 츠츠는 꾸물대는 모양이고, 뇨뇨는 하늘대는 모양이다. 바람이 하늘하늘, 즉 솔솔 분다는 의미다. 마치 바람을 눈에 본 듯 묘사했다. 한문의 독특한 맛이다. 다시 시로 돌아가자. 하루 해는 뉘엿뉘엿 지고 바람이 솔솔 불어온다. 그런데 어느 새 불어온 바람에 가끔 찬기가 느껴진다. ‘아! 가을이구나, 그래서 저 석양이 이리도 붉었구나’ 생각하는 데 문뜩 서글프다. 한 해가 또 어느 새 지나고 있기 때문이다. 돌아보니 스스로가 한 해, 한 해가 아쉬운 나이가 됐다. 그 때 불연듯이 떠오르는 의문, "올 해 꽃을 봤던가?" "도대체 내 인생의 꽃은 언제 피었던가?" 진자앙(陈子昂; 661~702)의 시다. 진자앙은 참 격정적인 삶을 산 인물이다. 어려서 문 걸어 잠그고 경서를 독파, 진사에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