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사태가 안정을 찾는 모습이다. 하지만 신규 확진자와 사망자가 아직 각각 2천여명과 100여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방심하기는 아직 시기상조다. 이미 중국 민심은 크게 동요하고 있다. 이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직접 방역을 진두지휘하고 나섰다. 당국도 춘제(春節·중국의 설) 이후 대규모 이동 통제를 강화하며 사태 수습에 나서고 있다. 17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6일 하루 중국 전역의 코로나19 확진자는 2천48명이 늘었다. 사망자도 105명 증가했다. 지금까지 누적 확진자는 7만548명, 사망자는 1천770명에 달한다. 중국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13일 5천90명을 기록한 이래 16일까지 사흘째 2천명 선으로 떨어져 유지되고 있다. 코로나 발병지 우한(武漢)이 있는 후베이(湖北)성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13일째 신규 확진자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3일 89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줄어 15일 166명, 16일 115명을 기록하고 있다. 후베이성의 신규 확진자는 1천933명, 사망자는 100명 늘었다. 이 지역에서는 지금까지 5만8천182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사망자는
“그런다고 달라지나?” 중국 윈난(雲南)성이 신종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모든 공공장소 출입할 때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도록 의무화했다. 그러나 아직 전국민 스마트폰을 소유하지 못하고 있는 중국에서 “스마트폰이 없으면 공공장소 출입도 못하냐”는 반발이 제기되고 있다. 14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위난성은 지난 12일부터 위챗(微信·웨이신)의 미니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해 공공장소 입구에 붙은 QR코드를 스캔한 뒤 출입하도록 의무화했다. 출입자 신원을 관리해 만약에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감염 경로를 바로 추적하겠다는 의도다. 대상이 되는 공공장소는 공항, 철도역, 지하철, 버스 터미널, 쇼핑몰, 슈퍼마켓, 아파트, 병원과 약국 등이다. 의무사항이다 보니 지키지 않으면 공공장소 출입이 금지된다. 강제로 출입하는 경우 법적으로 처벌키로 했다. 하지만 중국 네티즌은 “스마트폰이 없으면 공공장소도 출입하지 못하느냐”고 반발하고 나섰다. 중국의 경우 스마트폰 보급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 스마트폰을 소유하지 못한 이들이 적지 않다. 소위 농촌에서 도시로 올라와 일하는 이들은 수입이 적어 핸드폰을 가지고 있지만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가 왕왕 있다
“우리는 바이러스가 아니다.” 중국인들이 이렇게 외쳤다. 네델란드에서다. 중국 우한이 신종 코로나 발원지로 지목되자 전세계에서 중국인들에 대한 편견이 생긴 탓이다. 특히 백색인종, 미국 유럽계 인종들의 대 중국인 편견이 심하다. 중국 환구망은 10일 “중국인은 바이러스가 아니다”는 청원이 네델란드에서 제기됐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청원은 지난 6일자 현지의 한 라디오방송의 방송 탓이다. 방송에서 신종 코로나 관련 언급을 하면서 중국인을 비하하는 노래는 튼 것이 계기가 됐다. 이 방송 진행자는 방송에서 신종코로나는 "더러운 중국인들" 때문에 발생했으며 "감염되기 싫으면 중국 음식을 먹지 말라"는 가사의 노래를 불렀다. 청원이 제기되자 전날까지 1만7천명이 서명했다. 청원에 공감한 이들은 "우리는 아시아인에 대한 어떤 인종차별주의도 거부한다"며 방송의 사과를 요구했다. 인종 차별현상은 네델란드만의 일이 아니다. 유럽 등지에서도 중국인과 다른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와 차별이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나타나고 있다. (박정연기자·베이징=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신종 코로나가 만연한 중국에서 아파트 주민 관리가 거의 감옥 수준이다. 원천적으로 주민의 외출을 봉쇄하고 이틀에 1명만 외출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망자가 500명에 육박했다. 이에 진원지 후베이(湖北)성 밖에서도 여러 도시가 이 같은 아파트 '봉쇄식' 관리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5일 환구망 등에 따르면 하얼빈(哈爾濱)시는 확진 환자와 의심 환자가 발생한 아파트와 마을에 표지판을 내걸고 있다. ‘여기 확진자 발생’이라는 표지판이 걸리면 사실상 이웃과의 교류가 절로 단절된다. 시는 표지판을 내거는 동시에 철저히 사람과 차량의 출입을 금지한다. 출입은 매 가구에서 이틀에 1명만 허락된다. 택배와 음식 배달은 무접촉 배송 방식으로 시행된다. 출입자 체온 측정은 필수다. 앞서 후베이성 황강(黃岡)과 저장(浙江)성 원저우(溫州)시도 하얼빈시와 같은 ‘봉쇄식 아파트 관리제’를 도입했고 이어 장쑤(江蘇)성 난징(南京)시와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 역시 속속 같은 제도를 도입하고 나섰다. 또 저장성의 닝보(寧波)와 자싱(嘉興), 장시(江西)성의 난퉁(南通)시와 도자기 산지 징더전(景德鎭), 광둥(廣東)성 주하이(珠海) 등도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확산으로 중국 중소기업들이 심각한 경영난에 빠졌다. 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중소기업들이 주문 급감으로 존손을 위협받을 지경이다. 이들 중소기업들은 당장 지난해만해도 미중 무역전쟁으로 경영난을 겪어야 했다. 이번에 글로벌 코로나 감염이 아예 글로벌 무역길을 막은 것이다. 광둥(廣東)성 둥관(東莞)에서 신발 공장을 운영하는 탐 왕은 "1분기 대량 주문을 받을 수 없게 됐다"고 전했다. 왕은 이어 "해외 바이어들은 코로나가 끝나도 중국 대신 다른 지역에 발주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 했다. 현재 중국 당국은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춘제(春節·중국의 설) 연휴를 연장하고 있다. 교통도 곳곳에서 통제되고 있다. 이에 이번 신종코로나 확산에 따른 충격이 2003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보다 더 크다는 진단도 솔솔 제기되고 있다. 탐 왕은 "사스 때는 중국이 2001년 말 세계무역기구(WTO)에 막 가입한 상황이어서 해외 주문이 들어왔다"며 "그러나 지금은 무역전쟁으로 시작된 공장들의 '탈중국'이 본격화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광둥성에서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제품
춘제(春節·중국의 설) 연휴를 마친 중국 본토 증시가 3일 재개장 직후 폭락세를 보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의 여파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에 아시아 각국 증시도 동반 하락했다. 중국 증시 개장은 지난달 23일 거래 이후 11일 만이다. 중국 증시는 이날 문을 열자 마자 주요 지수가 9% 가까이 폭락했다. 조금씩 일부 종목이 낙폭을 좁혔으나 전반적인 하락장세를 벗어나지는 못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8.73% 하락세로 출발했다. 오전 10시 33분 현재는 8.09%(240.90포인트) 내린 2,735.63를 기록하고 있다. 선전종합지수도 9.1% 떨어진 채 시작, 현재는 8.63%(151.64포인트) 하락한 1,605.17을 기록하고 있다. 중국 증시의 하락세는 다른 나라보다 큰 폭이다. 중국보다 앞서 개장한 홍콩 항셍지수는 지난주에 5.8% 하락했다. 한국의 코스피 역시 5.7% 떨어졌다. 한국, 홍콩 이외 홍콩 항셍지수와 대만 자취안 지수는 전장보다 각각 0.58%와 2.32% 하락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1.20% 하락했다. 토픽스도 0.93% 내렸다. 한국 코스피 지수(-0.84%)와 코스닥 지수(-0.92%)도 하락세
‘우한(武漢) 폐렴’ 확진자가 한 달만에 8000명에 육박하면서 전염 기세가 2003년 사스를 넘어섰다. 빠른 전염 속도에 중국은 방역 작업에 군을 동원했다. 30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 공식 발표에 따르면 이날 0시 현재 확진자는 7711명, 의심자는 1만2167명에 달했다. 사망자도 170명에 달했고 중증 환자가 1370명이었다. 우한 폐렴은 지난 12월 30일 첫 확진환자가 나왔다. 우한 폐렴 한 달의 전염 기세는 지난 2003년 사스 때 한 달만의 확진환자 수가 5327명에 불과햇던 것에 비해 무려 2384명, 45%가량 많은 수치다. 국경을 넘는 속도도 사스 때보다 빠르다. 우리나라와 이웃 일본은 물론 미국, 프랑스 등 미 대륙과 유럽에 전염돼 이날 현재 총 19개 국가에서 발병 환자가 나온 상태다. 가장 많은 환자가 나온 곳은 태국으로 확진환자 14명, 의심환자가 80명에 이른다. 일본 역시 확진자가 7명에 달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이에 29일 방역 작업에 군 동원령을 내렸다. 이날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시 주석은 군에 “우한 폐렴의 방역 작업에 군은 중요한 공헌을 할 것을 지시”했다. 시 주석은 “우리 군은 우한 폐
대만 내에서 첫 ‘우한폐렴’ 감염자가 나왔다. 그동안 대만에서는 감염된 중국 내륙인들의 발병 사례만 보고됐었다. 이에 대만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29일 둬웨이 등 중화권 매체 등에 따르면 대만 보건당국은 전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관계자는 회견에서 “이날 오전 2명의 새로운 확진자가 발생했다”면서 “이 중 한 명은 중국에 사는 부인에게 전염된 님성”이라고 밝혔다. 당국에 따르면 이번 첫 대만 내 감염자는 가정에서 환자를 돌보다 전염된 것으로 보인다. 대만 내에서 발생한 첫 환자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대만 당국은 첫 전염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방역 단계를 올리면서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의료용 마스크를 수출할 수 없도록 하는 긴급명령을 발동하는 한편 마스크 생산업체들에게 24시간 공장 가동을 요청할 방침이다. 공장들을 대상으로 생산라인 증설 자금도 신속히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대만은 상황이 심각해지면 다음달부터 중국 본토인 입국을 전면 금지하는 것을 검토중이다. 대만은 지난 2003년 사스 사태 때 큰 타격을 입은 바 있다. 여기서 교훈을 얻은 대만은 2004년 세계 최초로 중앙전염병 센터를 설립해 체계적으로 전염병 대처에 나서
“마스크 하나 제대로 착용도 못하면서 무슨 방역을 한다고 …” 후베이성 지도자들이 온 중국민의 비난을 받고 있다. 28일 BBC중문서비스 등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후베이성 성장, 우한 시장 등이 참석한 ‘우한 폐렴 방역 긴급 기자회견’이 문제가 됐다. 기자회견은 비에비슝 후베이 성위 비서장, 왕샤오둥 성장, 저우셴왕 우한시 시장 등 후베이성 주요 지도자들이 주재했다. 문제는 회견장에서 이들이 각중 수치를 틀리게 말하는 것은 물론, 긴급상황임을 보여주기 위해 차고 나온 마스크 자체도 엉망이었다는 점이다. 화면에서 왼쪽에 앉은 비에비슝 비서장은 코가 나오도록 마스크를 썼으며, 오론쪽에 앉은 저우셴왕 시장은 마스크 겉과 속을 뒤집어 착용을 했다. 가운데 앉은 저우 시장은 아예 수치의 단위를 틀리게 이야기 했다. 한 기자가 우한시내 마스크 공급현황에 대해 묻자, 저우 시장은 “생산 능력이 108억장, 이중 민용이 8억8000만 장, 의료용이 9억7000만 장”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우한시 인구를 감안할 때 너무 많은 수치였다. 저우 시장은 스스로 그렇게 생각했는지, 잠시 뒤 “아! 18억장이 생산된다”고 수정했다. 이 때 옆에 있던 실무자가 자세한 내용을 적은
‘우한 폐렴’에 걸린 우한 시민들이 이미 4만4000여 명에 달했을 것이라고 홍콩대학 의학원 량줘웨이 원장이 27일 모형연구를 통해 추산했다. 량 원장은 ‘우한 폐렴’이 4, 5월에 절정을 이룬 뒤 6, 7월 감퇴할 것이라 전망했다. 28일 홍콩 중화권 매체 등에 따르면 량 원장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주장했다. 량 원장은 공공위생과 사회위생 분야 홍콩 최고의 전문가다. 2008년 WHO의 고문 등을 역임했다. 지난 2009년 홍콩 신종인플루엔자 유행을 막아내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량 원장은 최소 “2만5000명에 대해 우한 폐렴을 확진했다”며 “잠복기를 고려할 때 우한에만 대략 4만4000명의 감염자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량 원장은 "이번 바이러스의 기본 번식률은 2.13이다"면서 "한 환자가 2명 혹은 3명의 감염자를 발생시킨다는 의미다. 이에 감염자는 매 6.2일마다 배로 늘고 있다"고 전했다. 량 원장은 무엇보다 우한이 중국에서 교통의 요지였다는 점을 들며 지난 25일 이전에 일부 전염자들이 중국 기타 성과 시로 퍼져나갔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량 원장은 당국이 특별 대책에 나서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오는 4월 말과 5월초 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