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리쥔(王利軍) 델(DELL) 글로벌 부총재 겸 델 중국 소비∙소기업 사업부 사장은 25일 델은 중국 시장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해 왔으며, 특히 중국의 급속하게 발전하는 전자상거래 산업을 매우 낙관한다면서 글로벌 우위와 경험을 활용해 중국 이용자들이 좋아하는 제품을 출시할 것이라고 기자에게 말했다. 그는 “중국 시장은 북미 시장과 마찬가지로 전자상거래 제품 수요가 매우 크다”면서 “특히 중국은 5G 기술 상업화의 선도적인 위치에 있다. 5G의 저지연 특징은 게이머의 게임 체험을 크게 높일 것이며, 관련 산업은 발전 공간이 크다”고 지적했다. 중국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델은 제품 디자인을 끊임없이 조정하고 있다. 그는 게임 전용 노트북의 디자인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서 중국 소비자는 좁은 베젤 디자인을 좋아하므로 델은 성능 수요와 전체 디자인 컨셉을 유지하는 전제에서 최대한 더 좁은 베젤 제품을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에서 e스포츠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생중계와 e스포츠 대회를 핵심으로 하는 산업 생태계가 급속히 형성되고 있다. 이를 배경으로 최근 e스포츠 관련 하드웨어와 제품이 중국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25일,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베이징에서 ‘글로벌 석탄시장 리포트(2018-2023)’를 발표했다. 리포트에서 중국의 석탄 수요량은 이미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매년 평균 석탄 소비량이 1% 미만의 속도로, 구조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리포트는 또한, 앞으로 5년 글로벌 석탄 수요량은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과 미국 시장의 석탄 소모는 하락할 것이지만 그 하락폭이 인도와 기타 아시아 국가의 증가로 인해 상쇄될 것이다. 글로벌 에너지 구조에 대한 석탄의 기여도는 27%에서 25%로 떨어질 것이고 주로 재생가능 에너지와 천연가스에 의해 대체될 것이다. 리포트에서 글로벌 매 4t의 석탄 중 1t은 중국의 발전(發電)에 쓰이고 있다며 석탄의 운명은 중국의 전력 부서에 의해 많이 좌우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류바오화(劉寶華) 국가에너지국 부국장은 회의에서 현재 중국 70%의 석탄발전 설비세트는 이미 저배출을 실현했고 중국은 이미 글로벌 최대의 청결석탄전력 공급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에너지공급과 환경보호의 모순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켰고 글로벌 범주에서 석탄을 깨끗하게 이용하는 시범을 보였다고 말했다.
상하이는 중국이 자동차를 수입하는 주요 통관항 중 하나다. 상하이세관 2018년 통계에서 상하이세관 세관구역의 수입 자동차는 37만3천 대로 전년도 대비 9.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화물 가치는 1103억7천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4.7% 감소했다. 수입 평균 가격은 약29만6천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5.7% 상승했다. 전체적으로 수입량은 감소하고 가격은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8년 상하이 통관항의 자동차 수입은 다년 간 성장세에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2019년에 들어서면서 수입 추세가 다시 상승했다. 1월 상하이시 기업이 상하이 통관항을 통해 수입한 자동차는 전년 대비 55.2% 증가한 96억3천만 위안에 달했다. 테슬라 등 많은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은 중국 시장의 기회를 보았다. 2018년 상하이 세관구역이 수입한 배기량 1500cc-2000cc의 휘발유 소형 승용차, 7인승 이하 소형 차량과 SUV는 전년 대비 각각 2.2%, 30.1%, 15.5% 감소한 9만9천 대, 4만9천 대, 4만6천 대에 달했다. 배기량 2500cc-3000cc의 휘발유 SUV는 10.1% 감소한 5만9천 대였다. 배기량 2000cc-2500cc의 불꽃점화식
공업정보화부 사이디(賽迪)연구원 등이 25일 베이징에서 발표한 ‘2018 가전 인터넷 구매 분석 보고서’에서 2018년 중국 가전 인터넷 구매 시장은 안정적으로 성장해 B2C 가전 인터넷 구매 시장(모바일을 통한 구매 포함) 규모는 전년 대비 17.5% 증가한 5765억 위안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에서 2018년 중국 가전 인터넷 구매 규모는 전체 가전제품 시장의 35.5%를 차지했다. 국민 생활의 질 개선에 사용되는 소형 가전은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해 시장 규모가 천억 위안을 돌파했다. 핸드청소기, 로봇청소기 등은 매출이 50% 이상 상승했다. 안마의자, 안구마사지기, 전동칫솔 등은 80% 넘게 성장했고, 구조 최적화, 제품 업그레이드, 품질 향상 추세가 뚜렷하다고 전했다
최근 중국과 사우디 관계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양국 정상의 상호 방문이 성공적으로 이뤄졌고, 전면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수립했으며, 실무협력이 안정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22일, 중국-사우디 투자협력 포럼이 베이징에서 개최돼 수백억 달러 규모의 협력협정 여러 건을 체결해 양측은 투자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닝지저(寧吉喆)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은 포럼에서 중국과 사우디 양측은 2라운드 중국-사우디 생산능력과 투자협력 중점 프로젝트 양해각서를 체결해 에너지, 석유화학, 제조업, 정보기술 등 분야에 관련된 18개의 중점 프로젝트를 공동 확정했으며, 투자지는 중국과 사우디 여러 곳이고 총 투자액은 수백억 달러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칼리드 알 팔리(Khalid al-Falih) 에너지부 장관은 에너지 협력은 사우디와 중국 관계 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사우디는 세계 최대의 원유 수출국이고 중국은 석유 소비와 수입 대국으로 에너지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양측의 전략 이익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사우디는 ‘일대일로’ 구상에 가장 먼저 합류한 국가 중 하나다. 에너지 협력 외에도 중국과 사우디는 산업구조에서 보완성이 강하고 이
얼마 전에 공포된 중앙1호 문건은 국내의 부족 농산물 수입을 주동적으로 확대하고, 다원화된 수입 루트를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는 이는 중국이 확고하게 개방을 확대하고 개방으로 개혁과 발전을 촉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했다. 예싱칭(葉興慶) 국무원발전연구센터 농촌경제연구부 부장은 농산물 수입 확대는 한편으로 국내 시장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소비자와 농산물의 가공업 비용을 낮출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국내의 재배 구조 조정 및 최적화, 과적된 한계 생산능력 퇴출, 그리고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능력을 높이기 위해 선회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농산물을 수입하는 것은 실제로 토지와 수자원을 수입하는 것으로 중국 같이 인구가 많고 땅이 적은 국가에 있어 장기적인 이익과 전략적 이익에 부합된다”고 예 부장은 말했다. 대두의 경우 식용유와 단백질 사료 수요가 계속 증가하면서 중국의 대두 생산과 수요 부족분은 9000만 톤에 달해 85% 안팎의 대두를 수입해야 한다. 리융(李永) 중국 국제무역학회 중∙미∙유럽 경제전략연구센터 공동 센터장은 이에 대해 중국이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대두와 외국에서 수입하는 대두의 용도가 다르다고 분석
천 명이 넘는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 정계와 재계의 대표들이 22일 베이징에 모여 ‘일대일로’ 구상과 사우디의 ‘2030비전’ 연결을 논의하고, 35건, 280억 달러 규모의 협력협정을 체결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제협력센터와 사우디투자청(SAGIA)이 지난 22일 ‘중국-사우디 투자협력 포럼’을 개최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칼리드 알 팔리(Khalid al-Falih) 에너지부 장관은 2030 비전과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은 일치도가 높고 광활한 협력 공간이 있다면서 이번 투자협력포럼은 양자의 협력에 좋은 플랫폼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포럼 주최측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에 체결한 35건의 협력협정 금액은 280억 달러를 상회한다. 사우디는 이날 중국 기업에 4장의 허가증을 발급했다. 닝지저(寧吉喆)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은 중국-사우디 투자협력포럼 개최는 양국의 생산능력과 투자협력 잠재력을 계속해서 발굴하기 위해서 양국간 실무협력의 내용과 성과를 논의했다.
중국 재정부가 22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월 전국에서 발행된 지방채 규모는 4180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이 중 일반채권은 2635억 위안, 특수목적채권은 1545억 위안이었다. 용도별로 볼 때 1월 전국에서 발행된 신규 채권은 3688억 위안으로, 이 중 신규 발행된 일반채권은 2276억 위안, 특수목적채권은 1412억 위안이었다. 일부 만기 지방채 원금 상환을 위해 발행된 차환용 및 재융자 채권 규모는 492억 위안이었다. 데이터에서 1월 지방채 평균 발행기한은 6년으로 이중 일반채권은 7.6년, 특수목적채권은 6년이었다. 평균 발행금리는 3.33%로 이 중 일반 채권은 3.34%, 특수목적채권은 3.32%였다. 1월말까지 전국 지방정부의 채무 잔액은 18조8041억 위안이었다. 이 중 일반채무는 11조2574억 위안, 특수목적채무는 7조5467억 위안이었다. 정부채는 18조4890억 위안, 비정부 채권(크레디트물) 형식의 정부 채무는 3151억 위안이었다. 1월말까지 지방채의 남은 평균 연한은 4.4년으로 이 중 일반채권은 4.4년, 특수목적채권은 4.5년이었다. 평균 금리는 3.5%로 이 중 일반채권은 3.49%, 특수목적채권은 3.52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월 22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 ‘오벌 오피스’에서 제7차 중미 고위급 무역협상을 진행 중인 시진핑 주석의 특사 류허(劉鶴) 중공중앙정치국 위원 겸 국무원 부총리, 중미 포괄적 경제대화 중국측 대표와 면담했다. 류허 부총리는 우선 트럼프 대통령에게 시진핑 주석의 구두 메시지를 전달했다. 시진핑 주석은 구두 메시지에서 최근 한동안 양국 협상팀은 양국 정상이 아르헨티나에서 이룬 공통된 인식을 이행하고 잇단 협상을 가져 긍정적인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또 양국과 국제사회는 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면서 양측이 상호존중과 협력윈윈의 자세로 더욱 분발해 호혜윈윈적인 합의를 이뤄내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과 다양한 방식으로 긴밀한 연락을 유지하길 바란다면서 부인인 펑리위안 교수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과 멜라니아 여사 및 가족에게 안부 인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류허 부총리는 시진핑 주석의 특사로서 다시 워싱턴을 방문한 것은 양국 정상이 이룬 중요한 공통된 인식을 보다 더 이행하고, 기존의 토대에서 무역협상이 더 큰 진전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틀간 양국 협상팀은 성과가 있는 협상을
21일, 상무부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따르면, 2018년 중국 농촌시장의 온라인 소매금액은 동기대비 30.4% 증가한 1조 3,700억 위안, 전국의 농산품 온라인 소매금액은 동기대비 33.8% 증가한 2,305억 위안으로서 농촌의 전자상거래가 급성장했다. 전자상거래는 이미 빈곤퇴치 공격전의 중요한 수단으로 되었다. 가오펑(高峰) 상무부 대변인은 당일의 정례 기자회견에서 상무부 주도 하에, 29개 업체가 참여해 설립된 중국전자상거래빈곤구제연맹은 351개 빈곤현에 도움을 주었고 기업이 나서 빈곤지역 농산품이 ‘3품1표(三品一標)’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추동했으며 브랜드화·표준화 수준의 제고를 통해 농산품의 시장진입 촉진에 새로운 진전을 가져왔다고 말했다. 아는 바에 의하면, 상무부의 전자상거래 빈곤구제 업무는 전면적으로 추진되었고 2018년, 전자상거래 농촌시장 진출 종합시범에 새로 추가된 국가급 빈곤현은 238개, 커버리지율이 88.6%에 달했다. 농촌시장 온라인 소매가 활발해 진 것은 2018년 온라인 소매 산업의 특징 중 하나이다. 2018년 중국의 온라인 소매금액은 9조 위안 돌파했다. 그중, 실물상품의 온라인 소매금액은 동기대비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