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 현재 기술 수준이 가장 높은 '1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이하' 반도체 부문 대만 TSMC의 글로벌 생산 점유율이다. 반면 한국 삼성전자는 8%에 그쳤다. 말도 안될 정도의 우위를 대만이 확보하고 있는 모습이다. 삼성의 아우라에 취해 한국이 손을 놓고 있는 동안 벌어진 일이다. 반도체 생산 점유율은 한국이 처한 상황을 가장 강렬하게 웅변하고 있다. 왜 한국 정부가 지금이라도 정신을 차려야 하는지 보여준다. 이번 자료는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 SIA)가 내놨다. 협회는 로직 칩(CPU, DSP 등)을 45nm이상, 28~45nm, 10~22nm, 10nm 이하로 나누어 국가별 생산 점유율을 산출했다. 그럼 기술력이 떨어지는 반도체 생산 부문에서는 어떨까? 그 분야의 상황은 더욱 복잡하다. 여전히 1위는 대만이다. 한국은 10%로 조금 낫지만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오히려 이 분야에서는 다른 나라들의 참여가 많아 경쟁이 더욱 심했다. 반도체 업계가 18년 전에 선보인 저가의 ‘45nm 이상 반도체’ 부문에선 대만이 점유율 33%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 23%, 일
중국의 넓은 국토는 가장 큰 혜택이면서도 때론 가장 큰 장애가 된다. 국토가 넓은 탓에 전국적인 서비스망, 즉 다양한 인프라 구축이 어려운 것이다. 하지만 인프라가 어느 수준에 도달하면 해당 산업은 뭐든 세계 최대 규모가 된다. 철도망이 그렇고 도로망이 그렇다. 4차 산업 혁명의 시대를 맞아 가장 중요한 통신망도 다른 어느 나라보다 빠른 속도로 전국 인프라 구축에 성공하고 있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5G 통신 기지국 수는 이미 중국 한 나라의 숫자가 나머지 세계 전부의 숫자에 맞먹을 정도다. 전기차 시대를 맞아 전기 충전소도 마찬가지다. 중국의 신에너지차(순수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차) 비중이 높아지면서 공공 충전시설도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충전연맹(中国充电联盟) 최신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중국의 공공 충전기는 183.9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56.1% 증가했다. 최근 12개월 간 월평균 약 5.5만 대의 공공 충전기가 새로 추가되었으며, 전체 공공 충전기 중 직류 충전기는 78.3만 대, 교류 충전기는 105.5만 대로 집계됐다. 1월 기준 전국 총 충전 전력은 약 23억1000만㎾/h로 전월 대비 8.1%, 1억7000
'12조1805억 위안' 한국 돈 약 2267조 원이다. 중국의 문화산업 기업 6만9000개의 지난해 매출이다. 전년 대비 0.9% 성장했다. 규모는 크지만 코로나19 봉쇄 방역 탓으로 1%에도 못 미치는 성장이다. 중국 매체들은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지난해 중국의 규모(規模) 이상 문화 및 관련 산업 기업들이 안정적인 성장 추세를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규모 이상 문화산업 기업 6만9000개의 지난해 매출은 12조1805억 위안(약 2267조 원)으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전체 문화산업 중 콘텐츠 창작 생산, 뉴스 정보 서비스, 문화 투자 운영, 문화 장비 생산, 문화 소비 단말 생산 등 5개 부문 기업의 매출은 전년 대비 각각 3.4%, 3.3%, 3.2%, 2.1%, 0.3% 증가했다. 또 문화산업 중 새롭게 떠오르는 16개 유망 분야 기업의 매출은 4조3860억 위안(약 816조 원)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16개 유망 분야 중 디지털 출판, 엔터테인먼트용 스마트 무인 비행장치 제조, 인터넷 문화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부가가치통신 문화 서비스, 웨어러블 스마트 문화 장비 제조 부문은 각각 30.3%, 21.
'5.28%' 오는 3월에 개최되는 중국 최대 연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중국 경제 전문가들이 예측한 올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다. 지난해 중국은 3.0% 성장을 했다. 예상에 한참 못 미치는 충격적인 중국의 성장률을 놓고 일부에선 코로나19 봉쇄 정책을 원인으로 지적했고, 다른 일부에선 중국 경제 규모가 성장하면서 전반적인 성장 동력의 하락이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무엇보다 중국의 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섰다는 보고서까지 나오면서 인구가 중국 경제의 성장 동력에서 장기적인 부담으로 바뀌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노령화와 인구 감소가 이어진다면 중국은 중진국의 함정에 빠져 중국 당국이 2번째 100년의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선진국 모델인 '다퉁(大同)사회' 진입이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연평균 5% 정도의 성장세를 유지했다. 팬데믹 첫해인 2020년에는 성장이 둔화했으나, 이듬해 기저효과까지 나타나면서 크게 성장해 2020~2021년 평균 5% 성장을 이루었다. 올해 만약 중국 경제 전문가들이 예측하듯 5.28% 성장을 구현하다면 2022~2023년 평균 성장률은
'제로 코로나'에서 '위드 코로나'로 전환되면서 중국 경제가 빠르게 일상을 회복하고 있다. 제조, 유통, 관광 등 경제의 각 부분들이 빠르게 매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가장 민감한 곳이 바로 소비자들과 제조사들을 이어주는 택배 산업이다. 지난해 12월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중국의 택배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기준 중국의 택배 발전지수는 265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발전규모지수(发展规模指数), 발전능력지수(发展能力指数), 발전추세지수(发展趋势指数)가 각각 290.2, 202.4, 103.6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4%, 0.9%, 27.7% 증가했다. 서비스품질지수는 356.4를 기록했다. 1월 택배 서비스품질지수(服务质量指数)는 356.4로 집계됐다. 택배 서비스의 국민 만족도는 81.3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점 증가했다. 올해 춘제(春節, 설) 연휴기간(1월 21~27일)에 중국의 택배 소포 수거량은 약 4억1000만 개로 작년 춘절 연휴 대비 5.1%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약 두 배에 달한다. 급증한 택배 물량으로 인해 배송업체와 지방정부들은 다양한 인센티브를 내걸며
'47만9600㎘' 지난 2022년 중국의 맥주 수출량이다. 전년 동기 대비 13.1% 늘었다. 맥주 수출액은 21억86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21.3% 증가했다. 중국 맥주가 코로나 엔데믹 전환과 함께 다시 세계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바이주(白酒)'의 나라지만, 근대화 초기 서구의 맥주를 일찌감치 받아들였다. 하얼빈과 옌칭은 물론 칭다오 등은 한국에도 잘 알려진 중국의 맥주 브랜드들이다. 무엇보다 최근 젊은 세대에서 독주보다 낮은 도수의 술을 찾으면서 맥주가 더욱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이다. 칭다오는 중국을 넘어 한국을 비롯해 많은 나라에서 사랑받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최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규모이상(规模以上) 맥주 제조업체의 생산량은 3568만7000㎘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중국의 맥주 생산량은 2016년 4506만4000㎘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감소하다가 2021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중국 해관총서(세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맥주 수입량은 48만2100㎘로 전년 대비 8.1% 감소했다. 금액으로는 43억43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5.
'8203.56위안' 한화로 약 151만9000원이다. 지난 1월 기준 중국 25개 도시 고용 기업의 평균 월급이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해 인플레이션이 가중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질 가치로서 중국 직장인의 월급은 크게 줄어든 셈이 됐다. 차이신 등 중국 경제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직장인 평균 월급이 가장 높은 도시는 상하이(1만605위안)였으며 광둥성의 선전과 광저우는 각각 9903위안, 9266위안이었다. 이들 상위 세 도시의 물가 역시 중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어서 결국 실질 가치로서 월급 수준은 적지 않게 하락한 것으로 추산된다. 일자리별 급여 수준을 살펴보면, 기업들의 고용 수요가 많은 15개 일자리의 평균 월급은 7228위안으로 지난해와 비슷했다. 그 중 화물 운송 기사의 월급이 1만1632위안으로 가장 높았다. 공장 직원과 창고 관리자의 평균 월급도 1만 위안을 초과하여 각각 1만611위안, 1만31위안에 달했다. 기업들의 고용 수요가 높은 15개 일자리의 고용 수요는 지난해 12월 대비 44.02% 증가했다. 증가율 상위 3개 직종은 영업사원, 미용사, 슈퍼바이저(매니저)로 지난해 12월 대비 각각 81.16%, 73.75
' - 1.1%' 지난 2022년 중국 인터넷 비즈니스나 매출 성장세다. 소폭이지만 감소, 역성장을 했다. 코로나 언택트 특수를 누렸던 인터넷 비즈니스였다. 이번 역성장은 크게 두가지 면에서 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하나는 코로나 특수가 이제 주춤하고 있다는 것, 또 다른 하나는 중국 경제가 침체하면서 전반적인 소비침체가 인터넷 비즈니스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둘 중 어느 역할이 컸는지는 좀더 지켜봐야 할 일이다. 하지만 다른 산업과 달리 인터넷 비즈니스는 중국 당국이 역점을 두고 성장시키는 분야여서 이번 역성장은 중국 경제 전반에 걸친 경고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반응이다. 지난해 중국 인터넷 비즈니스 매출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중국 공업정보화부에 따르면 중국의 규모이상(规模以上) 인터넷 비즈니스 매출은 1조4590억 위안(약 268조 원)으로 전년 대비 1.1%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1415억 위안(약 26조 원)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온라인 판매 분야 기업 매출이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는 기업(종합전자상거래, 농수산물, 의료용품, 특급배송 등)의
'10조 위안 돌파' 10조 위안은 한국 원화로 약 1824조 원에 달한다. 중국에서는 한 산업의 규모를 규정하는 기준이 되는 금액이다. 10조 위안 규모가 된다는 것은 중국에서도 가장 '핫'한 성장 산업이라는 의미다. 지난 2022년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서비스업의 수익이 역대 처음으로 10조 위안의 벽을 넘어섰다. 규모의 경제를 통해 새로운 발전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1일 중국 공업정보화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은 수익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총 수입이 10조 위안(약 1824조 원)을 돌파했다. 2022년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의 규모이상 기업은 3만5000개를 넘어섰으며 해당 비즈니스의 누적 수입은 10조812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2% 증가했다. 총 이윤은 1조264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 매출 상위 5개 지역은 베이징, 광둥, 장쑤, 산둥, 저장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5곳의 소프트웨어 산업 매출은 총 7조4537억 위안으로 중국 전체의 68.9%를 차지했다. 동부, 중부, 서부, 북동 지역별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 매출은 각
'60%' 중국의 설, 춘제(春節) 연휴 기간 전년 동기 대비 트래픽 증가폭이다. 올해는 중국에서 근 3년래 처음으로 이동의 자유가 보장된 의미가 있는 춘제였다.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은 중국에서 설은 고향을 찾아 가족들이 모이는 의미 깊은 명절이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은 이 같은 중국의 전통을 한동안 단절시켰다. 가족들을 보지 못하고 대신 인터넷으로 인사를 하는 '언택트 명절'을 지내도록 강요했다. 그 단절을 끝내고 다시 모이게 된 설 명절이 이번 중국의 춘제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이미 언택트 명절 인사에 익숙해진 것일까. 중국에서 가족들의 만남이 가능해졌지만, 의외로 온라인 활동 역시 더욱 활발해졌다. 한번 익숙해진 언택트 명절 활동의 습관이 가족과 만나는 동안에도 가까운 지인들도 언택트로 챙기는 새로운 습관을 만들어 낸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 국영 이동통신 차이나유니콤(中國聯通)이 올 춘제 연휴 기간 전국 5G 일평균 트래픽 통계 자료를 30일 발표했다. 차이나유니콤에 따르면 올 춘제 기간 일평균 5G 트래픽은 전년 동기 대비 약 60% 증가했다. 이는 인구 이동 및 소비 활동의 급증을 나타내며 5G가 사람들의 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