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장정 32명이 필요했던 명나라 재상의 초대형 가마

"排场 [páichang]" 

우리 말로 '웅장한 장면', '겉보기', '겉치레' 등으로 번역된다.

중국을 이해하는 데 정말 중요한 단어지만 아쉽게도 우리에게는 그리 좋은 뜻으로 들리지 않는 단어다.

우리가 지나치게 '실사구시'实事求是의 '실'实에 방점을 두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실 허虚와 실实에서 허를 버리고 실 만을 옳다 보는 것은 어떤 점에선 큰 오류다.

허와 실은 서로 보충하는 것이지, 상반된 것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허는 멀리 있는 이익, 즉 '명리'名利고, 실은 눈앞에 이익, 즉 '실익'实利이다.

명리만 쫓으면 실속이 없고, 실익만 쫓으면 큰 이익을 놓치게 된다.

 

본래 허를 얻으면 실이 절로 오고, 실을 얻으면 허가 뒤따르게 된다.

이 이치를 일찍이 중시한 게 중국의 문화다. 군자는 항상 둘을 모두 추구한다. 아니 둘의 균형을 추구한다. 

그게 중용의 이치다.

특히 일정 수준, 소위 "이만하면 먹고 살 걱정이 없다" 싶으면 추구하게 되는 게 실보다는 허, 명리다. 

예컨대 우리나라에서도 대기업 반열에 들면, 그 이름만으로 어떤 사업을 해도 성공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그 이름을 걸고 너무 작은 이익을 추구하면 오히려 해가 되는 이치다.

 

 

이런 의미에서 예부터 중국에서는 '排场', 겉치레가 중요했다.

이제 먹고 살 만한 '샤오캉'小康 사회에 들어선 중국에서 갈수록 중요해지는 게 바로 '排场'이 될 것이다.

그럼 어느 정도 '排场'이면 될까?

이게 우리 상상을 넘는 경우가 많다. 세계 모든 사람의 상상도 넘는 때도 적지 않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명나라 재상 장거정张居正(1525~1582)의 초대형 가마다.

 

 

시호가 문충文忠인 장거정은 우리에게도 알려진 명나라 관료다. 

​대외적으로는 몽골 등 이민족의 침입을 막았고 대내적으로는 정치 개혁을 이루고 황허강의 대대적인 치수공사를 완성시켰다. 명대 최고의 관료라는 칭찬도 적지 않다.

 

내각의 최고 직위, 수보首辅였던 그가 1578년 만력万历(명나라 13대 신종 연호) 6년 4월 고향에 금의환향하던 모습이 기록에 남아 있다.

당시는 이미 장거정의 부친이 사망한 지 1년이 지났던 시점이다. 늦었지만 부친상을 치르기 위해 나선 길이었다.

그런데, 이 행차가 황제도 부러워할 정도였다고 한다.

의장대는 물론이고 소총수까지 동원돼 장거정의 행차를 호위했다.

특히 장거정이 당시 탔던 가마는 그 규모에서 전무후무했다. 황인우黄仁宇의 만력십오년万历十五年에 기록으로 남아 후대까지 놀라게 할 정도다.

호화로운 것은 물론이고 그 크기가 놀라웠다. 내부가 사람 한 명이 앉는 수준이 아니었다. 거실이 있어 손님을 맞을 수 있고, 시동  두 명이 머물며 시중을 들었다고 한다.

이 엄청난 크기의 가마를 움직이려면 장정 32명이 힘을 합쳐야 했다고 전해진다.

 

32명이 함께 이 가마를 메고 어떻게 산을 넘고 강을 건넜을까?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