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 본격 가동

 

 

중국이 지난해 말 완공한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에 올해부터 매년 두 차례씩 우주비행사들을 파견한다.

중국이 만든 우주정거장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는 것이다. 

이제 중국은 독자적인 우주정거장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모든 실험을 할 수 있게 됐다. 

16일 중국중앙TV(CCTV) 등에 따르면 중국 유인우주공정판공실(CMSEO)은 본격적인 우주정거장 활용을 위한 올해 우주선 발사 계획을 밝혔다.

CMSEO는 우주정거장이 완공된 만큼 매년 유인우주선 2대와 화물우주선 1∼2대를 발사한다고 발표했다. 

우주비행사들을 정기적으로 우주에 보내 순환 근무하도록 하며 각종 실험과 연구를 하는 방식으로 우주정거장을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오는 5월 선저우 16호와 오는 10월 선저우 17호 유인우주선을 각각 발사해 우주정거장에 도킹시킬 예정이다.

유인우주선 외에도 5월에는 톈저우 6호 화물우주선을 우주정거장으로 보내 우주비행사들을 위한 각종 생필품, 소모품, 실험장비 등을 전달한다.

이와 함께 중국은 올해 대형 우주망원경 '쉰톈(巡天)'을 우주정거장에 합류시켜 관측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쉰톈은 길이 14m, 최대 직경 4.5m의 대형 망원경으로, 허블 망원경처럼 자외선·가시광선·적외선 영역에서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

허블 망원경보다 렌즈의 지름이 작고 해상도도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허블보다 시야가 넓어 우주 관측을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허블이 좁은 시야로 우주를 정밀하게 관측하는 방식이라면 쉰톈은 시야를 넓혀 우주를 넓게 관측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톈궁은 미국과 러시아 등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3분의 1 규모다.

중국은 2021년 4월 우주정거장의 본체 격인 핵심모듈 '톈허'(天和)을 쏘아 올린 뒤 톈허 양쪽에 두 개의 실험실 모듈 '원톈'(問天)과 '멍톈'(夢天)을 'T자'형 구조로 결합했다.

원톈은 실험실 외에 수면실·화장실·주방 등 생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멍톈은 실험 전용 모듈로 동·식물 실험과 중력 실험, 물리학·항공우주 기술 등 다양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