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7월 중국 광업 부가가치 동기 대비 1.3% 증가

 

중국 경제가 침체의 문턱에서 활강하고 있다. 출렁이며 기어가듯 활강하는 모습이, 기력이 부족하면 순식간에 바닥으로 추락할 양상이다.

중국의 7월 산업 부가가치가 전월대비 0%대 성장에 그쳤다.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한 셈이다. 산업 부가가치는 산업활동으로 생기는 가치들의 합이다. 중국 기업들은 7월 산업활동을 벌여 전달수준의 부가가치를 겨우 만들어 내는 데 그친 것이다. 

그럼 전년 동기 대비는 어떨까? 3.7% 성장에 그쳤다.

중국의 국내총생산 목표가 5% 중반이다. 중국 월별 산업활동의 결과가 경제 목표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이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월 중국의 규모이상 산업의 부가가치는 지난해 동기 대비 3.7%, 전달 대비 0.01% 증가했다.

그 중 광업의 부가가치는 지난해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1~7월 규모이상 산업의 누적 부가가치는 지난해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7월 41개 주요 산업 중 23개 산업의 부가가치는 지난해 동기 대비 증가세를 유지했다. 

그 중 석탄 채굴 및 세척 산업은 0.4%, 석유 및 천연 가스 채굴 산업은 4.2%, 종업 식품 가공 산업은 3.0%, 술/음료/정제차 제조업은 3.1%, 방직업은 0.3%, 화학 원료 및 화학 제품 제조업은 3.8% 증가했다.

석유 및 천연가스 채굴을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유가 상승을 노려 생산량을 늘린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인도는 러시아 산 값싼 원유를 수입해 되팔아 시세차익을 톡톡히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비금속 광물 제조업은 3.4% 감소했으며, 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업은 15.6%, 비철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업은 8.9% 증가했다. 

또 특수 장비 제조업은 1.5%, 자동차 제조업은 6.2%, 철로/선박/항공우주 및 기타 운송 장비 제조업은 1.0%, 전기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은 10.6%, 컴퓨터/통신 및 기타 전자 장비 제조업은 0.7%, 전력/열 생산 및 공급업은 4.6%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