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광둥성 광저우-산터우 고속철도 개통

 

 

중국 광둥성의 광저우-산터우(닝보-광저우 고속철도의 부분 구간) 고속철도가 26일 공식 개통됐다. 

중국은 세계 최대 고속철망을 자랑한다. 이번 고속철 계통으로 중국 남부를 연결하는 고속철망도 완성 단계에 들어서게 됐다. 

중국은 쓰촨 등지에서 유럽까지 이어지는 '일대일로' 철로를 완성시킨 지 오래다. 내부 고속철망과 더불어 중국에서 생산되는 소비재를 유럽과 글로벌 곳곳으로 보내는 물류망 완성에도 한 걸음 성큼 다가서게 됐다. 

중국 교통운수부에 따르면 광저우-산터우 고속철도 본선은 길이 200㎞, 설계 속도는 시속 350㎞이다. 광저우, 후이저우, 심천-산터우 협력구, 산웨이 등 4개 도시 지역을 통과하며 신탕, 증청, 뤄푸산, 보뤄, 후이저우 남(Huizhou South), 후이둥, 선산, 산웨이 등 8개의 역이 있다

광저우-산터우 고속철도는 신탕역에서 광저우-선전 3호선, 4호선을 통해 광저우 동역과 연결되고 보뤄에서 후이저우 북역까지, 후이저우 남역에서 중카이역까지 각각 연결된다.

광저우-산터우 고속철도 개통으로 광저우 동역에서 산웨이역까지의 고속열차 최단 운행시간은 현재 140분에서 70분으로 대폭 단축됐다.

광저우-산터우 고속철도는 광둥성 정부의 핵심 프로젝트의 하나로 추진됐다. 올해 광둥성은 약 1100억 위안을 철도에 투자하는데 광저우-산터우 고속철도 개통으로 총 연장 5541㎞(고속철도 2648㎞)의 철도를 확보하게 됐다. 

광저우-산터우 고속철도의 개통은 광둥 동부 지역의 경제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주강 삼각주의 산업 배후지 개발이 더욱 촉진돼 주강 삼각주와 광둥성 동부 사이의 균형적인 산업 발전이 가능해졌다는 분석이다.

한편 닝보-광저우 고속철도는 광둥성, 푸젠성, 저장성 등 3개 성의 15개 도시를 통과해 주강 삼각주와 장강 삼각주를 연결하게 된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