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최초의 내부비리 고발함은 누가 만들었을까?

 

한 사회 조직의 내부 비리를 발본색원할 수 있는 고발함은 누가 언제 발명했을까? 여러 설이 있지만, 한나라 때 발명됐다는 게 인정받는 설 중 하나다. 서한의 조광한(趙廣漢)이 만들었다는 것이다. 대략 기원전 74년이다. 

당시 지역 토호와 중앙 귀족이 손을 잡고 지역 행정을 농단하자, 조광한이 이를 개혁하기 위한 방법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내부 비리 척결에는 고발이 최고였던 셈이다.

그럼 조광한은 어떤 인물인가? 조광한은 한나라 선제(宣帝)를 옹립하는 일에 참여해 출세가도를 달렸다.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진 뒤 선제 때 영천태수(潁川太守)가 돼 강호(强豪) 원씨(原氏)와 저씨(褚氏) 등을 주살(誅殺)했다. 본시(本始) 2년(기원전 72) 조충국(趙充國) 등 5장군(將軍)을 따라 흉노(匈奴)를 격파했다. 다시 경조윤에 올랐는데, 자신의 직분에 충실하여 법을 집행할 때 권귀(權貴)라도 용서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 때문에 적도 많았다. 결국 나중에 일 때문에 정위사직(廷尉司直) 소망지(蕭望之)의 탄핵을 받아 요참(腰斬)을 당했다.

고발함은 그가 평원 원년(기원전 74년) 영천태수가 됐을 때 만들었다고 한다. 당시 영천 지역에는 토호들이 중앙 귀족과 결탁해 온갖 이익을 독점하고 있었다. 심지어 산적까지 거느리고 행패를 부려, 말 그대로 무법천지를 방불케했다.

조광한은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귀족들의 불법적인 일에 대해 수사를 벌이고 자료를 수집했으나 보복을 두려워한 백성들은 아무도 이에 응하지 않았다. 그래서 고육지책으로 내놓은 게 돈을 보관하는 통처럼 생긴 고발함이었다. 고발한 사람이 누군지 모르도록 해 백성들이 마음 놓고 토호와 귀족들의 죄행을 고하도록 한 것이다. 결국 고발함이 생기고 나서야 영천지역 토호들의 발호를 잡을 수 있었다고 한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