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알리바바, 벨기에 정보당국에 의해 스파이 활동 여부 조사받아

 

중국 대표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가 벨기에에 위치한 물류 허브를 통한 스파이 활동 여부를 감시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기업들은 현재 글로벌 각국에서 스파이 활동에 대해 의심을 받고 있다. 그만큼 중국 당국의 기업에 대한 통제가 심해 기업을 통해 자국 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크다고 각국이 보는 탓이다. 

한국에서는 아직 사례가 적지만 실제 미국과 유럽, 호주 등에서는 중국 당국이 자국 기업의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적발되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전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5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벨기에 국가안보국(VSSE)이 벨기에 동부 리에주 화물공항에 있는 물류허브와 관련해 알리바바를 비롯한 중국 기업의 '스파이 또는 방해 활동'을 탐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기업의 고객 데이터를 중국 당국과 정보기관에 공유하도록 강제하는 법안 때문에  VSSE는 알리바바가 민감한 경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쓰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알리바바는 2018년 벨기에 정부와 협약을 맺고 물류 자회사 차이냐오(Cainiao)가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허브를 유럽의 5번째 화물공항인 리에주에 구축했다. 

리에주 물류허브는 알리바바의 온라인쇼핑 계열사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를 통해 유럽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상품을 취급한다. 

이 과정에서 판매자, 제품, 운송 세부 정보 및 흐름에 대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 중국 당국에 유럽 현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유럽 무역과 물류에 관한 데이터를 보고하는 것으로 의심을 받고 있다. 

벨기에 세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 전역에서 구매한 물품의 분류 허브 역할을 하는 리에주 공항에서 처리된 화물은 약 3억2600만개, 110만t에 달한다.

벨기에 수도 브뤼셀에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유럽연합(EU) 등의 본부가 위치해 있어 중국 정부의 스파이 활동 가능성이 예전부터 제기돼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