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가을바람의 노래, 외로운 객이 가장 먼저 안다네

何处秋风至? 萧萧送雁群。

秋朝来入庭树,孤客最先闻。

hé chù qiū fēng zhì ?xiāo xiāo sòng yàn qún 。

qiū cháo lái rù tíng shù ,gū kè zuì xiān wén 。

 

가을바람 머문 그곳,

외기러기 날아드는 곳,

아침마당 나무에

가을바람 머무니,

누굴까?

누가 올까?

외로운 객이

가장 먼저 안다네.

 

 

슬픔이 슬픔을 안다.

외로움이 외로움을 안다.

그래서

슬픔만이 진정 슬픔을 위로하고,

외로움만이 외로움을 달랜다.

슬픔을 알고

외로움을 알 때

그제야

비로소

한 줄기 가을바람

머문 곳을 찾는

기러기 마음을

안다.

 

당나라 시인 유우석(刘禹锡, 772-842)의 '가을바람의 노래'다.

유우석의 자는 몽득이다.

낙양사람으로

유종원과 함께 정치 혁신을 하려다,

20년간 유배생활을 해야 했다.

시는 남방에서

유배생활을 하며 지었다고 한다.

 

시상은 단순하기만 하다.

가을 녘 외로움이

한줄기 바람과 기러기 떼,

그리고

떨어지는 나뭇잎 등에 녹아 있다.

하지만

그 단순함이

바로

이 시의 매력이다.

복잡하고 애잔한 감성이

담담하게 서술된다.

'萧萧'

의성어 활용도 좋다.

읽으면 읽을수록

입에

마음에

착 달라붙는다.

 

유몽득이

그만큼

외로웠기 때문이리라.

그만큼

슬펐던 탓이리라.

어디론가 날아간 가을바람,

그 뒤를 쫓는 기러기떼,

그 모두를 쫓아 떠나고픈

마음이 느껴진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