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가을바람의 노래, 외로운 객이 가장 먼저 안다네

何处秋风至? 萧萧送雁群。

秋朝来入庭树,孤客最先闻。

hé chù qiū fēng zhì ?xiāo xiāo sòng yàn qún 。

qiū cháo lái rù tíng shù ,gū kè zuì xiān wén 。

 

가을바람 머문 그곳,

외기러기 날아드는 곳,

아침마당 나무에

가을바람 머무니,

누굴까?

누가 올까?

외로운 객이

가장 먼저 안다네.

 

 

슬픔이 슬픔을 안다.

외로움이 외로움을 안다.

그래서

슬픔만이 진정 슬픔을 위로하고,

외로움만이 외로움을 달랜다.

슬픔을 알고

외로움을 알 때

그제야

비로소

한 줄기 가을바람

머문 곳을 찾는

기러기 마음을

안다.

 

당나라 시인 유우석(刘禹锡, 772-842)의 '가을바람의 노래'다.

유우석의 자는 몽득이다.

낙양사람으로

유종원과 함께 정치 혁신을 하려다,

20년간 유배생활을 해야 했다.

시는 남방에서

유배생활을 하며 지었다고 한다.

 

시상은 단순하기만 하다.

가을 녘 외로움이

한줄기 바람과 기러기 떼,

그리고

떨어지는 나뭇잎 등에 녹아 있다.

하지만

그 단순함이

바로

이 시의 매력이다.

복잡하고 애잔한 감성이

담담하게 서술된다.

'萧萧'

의성어 활용도 좋다.

읽으면 읽을수록

입에

마음에

착 달라붙는다.

 

유몽득이

그만큼

외로웠기 때문이리라.

그만큼

슬펐던 탓이리라.

어디론가 날아간 가을바람,

그 뒤를 쫓는 기러기떼,

그 모두를 쫓아 떠나고픈

마음이 느껴진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