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 중국 혁신형 도시 순위 Top 10, 1위 베이징

 

혁신 역량 1위 중국 도시는? 역시 베이징이었다.

혁신 역량은 미래의 먹거리를 일구는 기업들의 신기술 개발과 성장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미국의 구글이나 애플, 오픈AI(챗GPT 개발업체)처럼 혁신적인 기술을 가진 기업이 등장하면 인류의 생활상이 바뀐다. 그리고 그 바뀐 생활상 덕에 해당 기업은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며 성장한다. 

현재 글로벌 유니콘 기업은 대부분이 미국 기업들이다. 

중국은 구글, 애플 등과 같은 글로벌 유니콘 기업을 키우기 위해 적극적이다. 도시마다 혁신 기술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렇게 등장한 것이 바이트댄스(틱톡의 모기업) 등과 같은 IT(정보통신) 기업들이다. 또 이러한 기업이 탄생하도록 도시 차원의 인프라를 구축하려 노력하고 있다. 

중국 과학기술부 산하 과학기술정보연구소(科学技术信息研究所)가 '2023년 국가 혁신형 도시 혁신역량 보고서(国家创新型城市创新能力评价报告2023)'를 최근 발표했다.

'국가 혁신형 도시'란 뛰어난 자체 혁신 역량과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경제 및 사회가 지속적으로 성장해 지역내 영향력이 큰 도시를 의미한다.

과학기술부는 매년 '혁신 거버넌스 역량', '기초 연구개발(R&D) 및 첨단 기술 연구 역량', '테크놀로지 혁신 역량', '실질적인 성과 도출 역량', '혁신 주도 역량' 등 5가지 부문 30개 항목을 기준으로 중국내 주요 도시들의 혁신 역량을 평가한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내 혁신 역량 Top 10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 베이징 95.84

2위 상하이 86.66

3위 선전 79.06

4위 난징 77.23

5위 항저우 76.98

6위 우한 73.90

7위 광저우 73.36

8위 시안 72.55

9위 쑤저우 71.07

10위 허페이 70.85

  

특히 장쑤성은 난징(4위)과 쑤저우(9위) 등 두 개 도시가 10위 안에 포함돼 주목을 받았다.

그 중 난징은 지역 GDP 중 총 R&D 지출 10위, 취업자 1만명 중 R&D 인력 수 3위, 고급 과학기술 인재 수 3위, 첨단기술 기업 수 10위, 발명특허 보유수 3위 등 각종 지표에서 상위권에 포함됐다. 또한 최근 수년간 주요 과학기술 혁신 플랫폼 구축이 증가해 혁신 거버넌스 및 독창적 혁신 평가가 점수가 베이징과 상하이에 이어 중국내 3위를 차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