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CCTV 중국 축구계 부패 다룬 다큐 방영, 中네티즌 “정말 경악 할만한 일이군요”

 

"신성한 축구를 뒷돈 거래로 더럽혔습니다. 정말로 반성합니다."

지난 9일 중국 중앙TV(CCTV)에  등장한 리톄(李鐵) 전 중국 남자 축구대표팀 감독의 말이다. 리

전 감독은 지난해 심각한 기율 위반 혐의로 구속됐다.

그는 조사과정에서 뇌물 수수 등의 혐의를 인정했다. 이번엔 방송에까지 등장해 공개 반성을 하고 나선 것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그가 전하는 축구계의 더러운 이면에 경악을 금치 못하는 상황이다.

사실 중국 축구는 과거부터 승부조작 등으로 유명했다. 매번 단속을 하지만 거액의 돈이 오가는 스포츠토토 복권 탓에 승부조작이 끊이지 않는다.

중국 시진핑 정부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반부패 드라이브를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중국 최고 사정 당국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국가감찰위원회와 중국 중앙TV(CCTV)는 공동 제작한 부패 척결 다큐멘터리 4부작 시리즈 '지속적인 노력, 깊이 있는 발전(持续发力 纵深推进)'의 마지막 편 '절대 척결 3대 부패(一体推进“三不腐”)'를 지난 9일 방영했다.

해당 방송에는 리톄 전 중국 남자 축구대표팀 감독이 등장해 공개적으로 참회했다.

리 전 감독은 지난해 심각한 기율 및 법률 위반 혐의로 체포돼 조사받은 뒤 뇌물 수수와 공여 등의 혐의로 기소됐다.

이번 '절대 척결 3대 부패' 방영 내용에 따르면 리 전 감독은 중국 슈퍼리그 우한 줘얼 감독 시절 구단 관계자들과 공모해 당시 중국축구협회 천쉬위안 회장과 류이 사무총장에게 총 300만 위안(약 5억 5000만 원)의 뇌물을 주고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됐다. 

또 감독 선임 이후에는 우한 줘얼 구단으로부터 6000만 위안을 받고 함량 미달의 선수 4명을 국가대표로 발탁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네티즌은 "정말 경악할만한 일"이라며 "뼈를 깎는 고통으로 축구계 부패를 척결하여 청렴하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길"는 바란다는 의견을 보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