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북한 경제 제재 효과 내나?

중국 대북 경제제재가 효과를 내는 것일까? 8월 북한에 대한 중국의 수출이 처음으로 줄었다. 북에서 중국에 대한 수출도 연속 7개월 하락세다. 9월에만 무려 37.9% 줄었다.” 

 

 


 

 

중국 전문가는 중국이 유엔의 제재 결의를 성실히 시행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앞서 9월말에 북한에 대한 수출 금지 조치를 취했다. 이는 조만간 결과를 보여줄 것이라는 게 중국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중국해관은 최근 기자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최근 중조무역현황 수치를 밝혔다.
  중국 해관에 따르면 지난 8월 북한에 중국의 수출은 6.4% 줄었다. 9월에는 6.7%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9월 북한의 중국에 대한 수출은 무려 37.9%나 감소했다. 석탄, 철광석, 의류 등의 대중 수출이 크게 줄었다. 해산물은 아예 수입 기록조차 없었다.
  해관에 따르면 중국의 3분기 대북 무역규모는 40억3000만 달러(4조5498억 원 상당), 이는 전년동기 3.7% 늘어난 것이다. 다만 증가속도는 3.8bp 줄었다.
  이중 대북 수출이 25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9% 늘었다. 수입이 14억8000만 달러로, 전년동기 16.7% 줄었다. 중국은 10억70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중국은 지난 8, 9월 유엔 결의에 따라 대북 제재 수위를 두 차례 높였었다. 8월에는 석탄과 해산물의 수입을 전면 금지했고, 9월 말에는 북의 방직 제품의 수입을 전면 금지 했다. 또 북한에 대한 액화천연가스 등의 수출을 금지했다. 10월 1일부터는 석유정제품의 수출도 제한적으로 하고 있다.
  중국은 올 2월 북한산 석탄의 수입을 올 연말까지 기한으로 금지하고 있다.
  중국과의 무역은 북한 전체 무역규모의 90%를 차지한다. 하지만 이 같은 정부측 수치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북한 간 무역은 열차나, 차량, 선박 등을 이용해 현장에서 직접 이뤄지고 있다는 외신 고발도 적지 않은 상태다. 글=清露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