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설 명절 친척 간 왕래 감소, 젊은층은 왜 친척 방문을 꺼리는가?

 

중국 최대 명절 춘제(春節, 설) 연휴 나흘째인 지난 13일 "농촌에서는 어느새 가족 단위의 친척 간 왕래가 중단됐다"는 웨이보(SNS) 코멘트가 인기를 끌었다. 수많은 누리꾼이 댓글을 달면서 조회수가 1억 건을 넘어섰다.  

그런데 가족 단위 친척 간 왕래가 중단됐다는 게 무슨 말일까? 중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친인척 간의 유대가 끈끈한 사회다. 과거 한국에서 '사돈의 8촌'까지 하나의 친족으로 묶여서 명절 때마다 서로 찾아다니면서 인사를 하고, 힘든 일은 서로의 힘을 보태고 경사에는 서로 기쁨을 나누던 모습과 비슷하다.

그런 모습이 중국 사회, 특히 농촌 사회에는 남아 있었던 것이다. 한국 사회가 급속한 산업화 속에서 친척 간에 이제는 왕래는커녕, 서로 이름도, 아예 존재 자체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지듯 중국 사회 역시 개혁개방 40년이 지나면서 급속한 서구화 속에 가족이라는 테두리가 갈수록 옅어지는 것이다.

이번 설 연휴를 맞아 중국에서는 막 사라지는 친척이라는 테두리를 생각하는 웨이보 코멘트가 올라와 주목을 받은 것이다. 

이와 관련해 웨이보에는 "어린 시절 친척집에 다같이 모여 시끌벅적하게 지냈는데 커서 보니 친척도 귀찮은 대상이다. 연봉은 얼마나 되는지 묻고, 무슨 일을 하는지, 애인은 있는지, 결혼은 했는지, 자녀는 있는지 등을 꼬치꼬치 캐묻는다"는 네티즌들의 경험담이 올라왔다. 

친척들의 결혼과 출산 독촉을 피하기 위해 수많은 젊은이들이 홀로 여행을 떠나거나 아예 근무지에서 새해를 보낸다는 사례도 속속 등장했다.

일부 네티즌은 친척 간 왕래가 줄어드는 것은 중국 사회의 개인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