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트럼프 전 대통령 거액 벌금 선고받은 후 운동화 판매 나서, 中네티즌 "비즈니스의 왕"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이름을 딴 운동화를 판매해 중국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글로벌 사회가 인정하는 '별종' 내지는 '관종'이다. 

주목받기를 좋아하고, 럭비공처럼 예측불가한 행동을 해 상대방을 놀래키길 좋아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불러놓고 미군의 미사일 공격을 허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식이다. 

중국 네티즌들에게는 무례하기 짝이 없는 행동이다. 

재임 시기에 북한과 정상회담을 하면서도 원하는 답을 얻지 못했다고 바로 돌아서기도 했다. 중국 네티즌들이 이를 모를 리 없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신발 엑스포의 '스니커스 구역'에서 성조기가 인쇄된 황금색 운동화를 선보였다. 그리고 같은 날 특정 웹사이트(겟 트럼프 스니커즈 닷컴)에서 한 켤레 당 399달러에 한정판 1000켤레를 출시했는데 불과 두 시간 만에 완판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운동화를 '불굴의 신발’(NEVER SURRENDER HIGH-TOP SNEAKER)'이라고 소개하며 "이것은 내가 10여년 전부터 말해왔던 아이템으로 나는 이것이 대박을 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운동화 판매는 지난 16일 뉴욕 맨해튼지방법원에서 열린 사기대출 혐의 재판에서 3억 6400만 달러의 벌금을 선고받은 직후여서 더 주목을 받았다.

중국 네티즌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운동화 판매에 대해 "역시 비즈니스의 왕"이라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사실 트럼프의 행동은 목적이 분명한 것이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이다. 그것을 위해 자신은 어떤 수단이든 다 쓸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길 주저하지 않는 것이다. 설사 그것이 불법이어도 자신은 행동한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마치 미국 서부시대에 권총을 차고 자기 멋대로 군림하던 무법자들의 모습을 그대로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소위 전통 미국인들 사이에서 트럼프는 갈수록 인기를 끌고 있다. 시대착오적인 인기다 싶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