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중국 신에너지차 생산량 Top 4 도시, 1위 상하이

 

 

지난해 중국에서 신에너차(전기차, 하이브리드, 수소차) 생산량이 가장 많은 Top 4 도시는 상하이, 선전, 시안, 충칭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세계 최대 전기차 생산국이면서 최대 소비국이다. 

27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2023년 상하이의 신에너지차 생산량은 128만 6800대로 중국내 1위를 기록했다. 상하이는 지난해 8월부터 월간 신에너지차 생산량이 10만 대 이상을 유지했다.

지난해 상하이의 신에너지차 생산량 증가는 테슬라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의 상하이 기가팩토리(Gigafactory)는 지난해 60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했다.

선전은 아직 구체적인 수치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상하이에 육박하는 신에너지차가 생산된 것으로 추산됐다. 2022년에도 선전은 신에너지차 생산량이 84만 8800대로 상하이(98만 8600대)에 이어 2위에 올랐다. 

3위 시안의 신에너지차 생산량은 2022년(101만 5500대) 대비 소폭 감소한 99만 5000대를 기록했다.

시안은 중국 신에너지차 1위 비야디(BYD)가 지난해 베스트셀러 모델 생산 라인의 일부를 창저우, 푸저우, 허페이의 새 공장으로 옮기면서 지역내 신에너지차 생산 능력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4위 충칭은 지난해 신에너지차 생산량이 50만 300대를 기록했다.

충칭은 창안자동차(长安汽车) 등 10개 이상의 자동차 메이커의 본사가 위치해 오랜동안 중국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로 꼽혔다. 2015년 내연기관차 생산량이 300만 대를 넘어 중국내 1위를 차지했지만 신에너지차가 새로운 주력 차종으로 떠오르면서 점유율이 매년 감소 추세를 보여왔다. 

중국은 이미 개인 이동 수단이 기존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그 중심축을 옮긴 지 오래다. 또한 내수 수요를 기반으로 제조 능력을 키워, 글로벌 시장 공략도 본격화하고 있다. 

비야디는 이미 유럽, 멕시코 등에 진출해 생산 공장을 구축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도 가성비를 내세운 전기차로 시장 점유율을 조금씩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