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에서 생활비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도시 Top 10, 1위 싱가포르, 취리히

 

물가와 소득은 동전의 양면이다. 소득이 늘어나도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면 실질 소득은 감소한다. 물가에 맞춰 소득이 올라줘야 진정 소득이 늘어난 것이다. 이에 국가 경제에서 물가 관리는 경제 성장을 위해 소득을 늘리는 것보다 중요하다. 대략 2%의 물가 상승을 가장 안정적인 모양새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소득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물가 역시 빠르게 치솟은 도시들이 있다. 이런 도시의 생활은 저소득층에게는 견디기 힘들 정도다.

그럼 글로벌 주요 도시들 가운데 어느 도시의 물가가 가장 높을까?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글로벌 경제 분석 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전 세계 주요 도시 173곳의 생활비를 비교한 물가보고서 ‘월드와이드 생활비 2023(Worldwide Cost of Living Survey 2023)’을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주요 도시들의 생활비는 공급망 차질 완화에도 불구하고 평균 7.4% 상승했다. 생활비가 많이 들어가는 Top 10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공동) 싱가포르, 취리히 

3위(공동) 제네바, 뉴욕 

5위 홍콩 

6위 로스앤젤레스

7위 파리

8위(공동) 텔아비브, 코펜하겐

10위 샌프란시스코

 

 

싱가포르는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싱가포르는 지난 11년 동안 9차례나 1위에 올라 세계에서 생활비 부담이 가장 높은 도시로 평가됐다. 지난해에는 특히 차량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자격인증서(COE, Certificate of Entitlement) 발급비가 크게 올랐고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식품과 의류 가격도 대폭 상승했다. 

엔저현상의 영향으로 일본 도시들의 생활비 순위는 크게 하락했다. 도쿄는 2022년 조사 당시 37위였으나 60위권으로 내려갔다. 코로나19 팬데믹의 타격을 받은 상하이, 베이징 등 중국 주요 도시의 생활비도 전년 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