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도시별 인재 유치 역량 순위, 1위 베이징

 

중국의 옛말 중에 "사람은 높은 곳으로 향한다(人往高处走)"라는 말이 있다. 다른 도시로 일자리를 찾고자 떠나는 사람들의 수치를 보면 옛말 그른 것 하나 없다는 진리가 떠오른다. 

그렇다면 어떤 인재가 다른 도시로 취업을 위해 떠날까? 어느 도시를 인재들이 가장 선호할까? 

사실 인재들이 모여든 곳이 바로 가장 높은 곳이요, 가장 발전한, 그 가능성이 가장 큰 도시인 것이다. 

결국 인재들이 모여드는 도시를 안다는 것은 중국에서 가장 발전하는 도시가 어디인지를 아는 것과 다르지 않는 것이다. 

역시 1위는 베이징, 2위는 상하이였다. 전자는 정치의 수도요, 후자는 경제의 수도다. 3위는 중국 IT, 바이오 산업의 중심인 선전이었다. 간단히 정치, 경제 금융의 수도이거나, IT산업의 중심지에 중국 인재들이 모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 29일 중국 현지 채용 사이트가 발표한 ‘중국 도시별 인재 유치 역량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베이징

2위 상하이

3위 선전

4위 광저우

5위 항저우

6위 청두

7위 난징 

8위 쑤저우

9위 우한

10위 우시 

 

이번 순위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개혁개방의 창구인 광둥성으로, 광저우와 선전이 성공적으로 인재를 유치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선전 역시 광둥성 도시다. 광둥성은 중국의 개혁개방의 선봉지역이었다. 현 시진핑 주석의 부친인 시중쉰이 마오쩌둥의 지시를 받아 개혁개방을 진두지휘했던 곳이다. 

이웃한 홍콩, 싱가포르의 해양 루트를 이용해 광둥성에서 만든 값싼 소비재들을 수출해 외화를 벌어 중국 경제 발전의 기틀을 다졌다. 자연히 중국에서 가장 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졌고, 이때부터 수많은 중국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광둥성으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4년 동안 광저우의 인재 유입율은 각각 0.6%, 0.9%, 1%, 0.7%였다. 인재가 집중되는 핵심 원인을 살펴보면 광저우의 경제가 신속한 발전세를 보이고 있고 생활비, 부동산 가격이 일선 도시 가운데 가장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