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내 외국인 소유 주택 총 9만 1453호, 중국인이 55.0%로 1위

 

우리 영토의 0.26%는 외국인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적 소유자가 가장 많았다. 중국은 전체의 8%에 못 미쳤다. 미국 국적의 경우 교포, 즉 '검은 머리 외국인'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

31일 국토교통부가 2023년 말 기준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통계를 공표했다.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면적은 264.6㎢로, 전체 국토면적(10만449㎢)의 0.26% 수준이다. 이는 전년 대비 0.2% 증가한 면적이며, 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0.4% 증가한 33조 288억 원을 기록했다.  

또 외국인 보유 토지의 국적별 비중은 미국(53.3%), 중국(7.9%), 유럽(7.1%) 등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경기(18.4%), 전남(14.8%), 경북(13.7%) 등으로 조사됐다.

외국인 국내 토지보유 면적은 2014년~2015년 사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6년부터 증가폭이 둔화된 후 현재까지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외국인을 주체별로 분석한 결과, 외국 국적 교포가 55.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 합작법인 등 외국법인이 33.9%, 순수외국인이 10.2%, 정부・단체가 0.2%를 각각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외국인 8만 9784명이 소유한 주택은 총 9만1453호로 전체 주택 1895만 호의 0.48%로 집계됐다.

국적별 비중은 중국(55.0%, 5만 328호), 미국(22.9%, 2만 947호), 캐나다(6.7%, 6089호) 등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경기(38.4%), 서울(24.8%), 인천(9.8%) 등으로 나타났다.

소유주택수별로는 1주택 소유자가 대다수(93.4%)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통계와 거래신고 정보를 연계하여 불법행위가 의심되는 이상거래를 조사하는 등 외국인의 부동산 투기거래를 지속적으로 엄격하게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